포항 한은 지역경제연구보고서
“경제악화·인구유출 잡을 대안”

포항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지속적으로 경제악화, 인구유출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 포항시에 배터리 사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를 현실화 하기 위해서는 포항시와 관련 기관에 규제자유특구 관련 전담 행정부서를 운영하고 국내 최고의 연구중심대학인 포스텍과의 지속적인 산학연 협력을 통한 신사업 모델 발굴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포항본부가 28일 공개한 2021년 2호 지역경제조사연구 보고서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포항시의 경제성장률은 지난 2010년 이후 대체로 전국 경제성장률을 밑돌고 있다.

특히, 포항시의 주력산업인 철강업은 2018년 하반기 이후 미국의 보호무역 및 저가의 중국 철강제품 수입 증가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저가 철강제품 생산이 증가해 과잉공급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방산업 침체로 철강제품 수요부진이 겹쳐 철강제품 가격이 하락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주요 제조국가들이 봉쇄조치를 시행해 기존에 겪고 있던 철강제품 수요부진이 더욱 악화됐으며 철광석 가격도 상승해 포스코 등 주요업체들의 수익성 또한 악화하고 있다.

더불어 포항시 인구는 지난 2015년 52만 명을 기록한 이후 지난해에는 50만 명 수준까지 감소하였으며, 특히 주요 노동계층인 30∼55세 인구가 22만 명에서 19만 명으로 크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은 포항본부는 이와 같은 포항지역 상황을 고려할 때 배터리 산업이라는 차세대 신사업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및 산업구조 개편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포항시는 지난 2019년 7월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에 선정돼 2023년까지 4년간 배터리 리사이클링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신사업을 육성하고 있다.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와 영일만4일반산업단지 중 약 0.93km2 규모 부지가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으며 총 15개 업체가 특구사업자로 참여하고 있다. 특구 지정 이후 배터리 관련 기업의 신규투자를 활발하게 유치하여 규제자유특구 중 최초로 대기업인 GS건설(주)의 투자(1천억원)를 유치하는 등 총 5천552억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기록했다.

포스코케미칼은 국내 최초로 2차전지용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을 건립 중이며 (주)에코프로의 경우 양극재 공장을 설립할 예정임을 감안하면 2차전지 핵심소재인 음극재와 양극재의 포항지역 생산이 가능해져 가격 경쟁력 확보 및 시장 점유율 상승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는 1차 규제자유특구에 대한 운영성과 평가에서 ‘우수’ 특구로 선정됐다.

이에 그치지 않고 포항시, 포스텍을 비롯한 산학연이 △지속적인 산학연 협력을 통한 신사업 모델 발굴 △벤처기업 창업 지원을 위한 각종 지원책 마련 △자동차 부품 업체 등으로의 외형 확대 △규제자유특구 관련 전담 행정부서를 설치 및 운영 등 향후 과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더욱 큰 성과가 기대된다고 한은 포항본부는 전망했다.

연구를 수행한 한국은행 포항본부 기획조사팀 장경철 과장은 “포항지역은 1차 철강 제조업 비중이 압도적인데 최근 철강산업의 성장률이 부진한 가운데 경제성장률 또한 전국 수치를 지속적으로 하회하고 있다”며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는 이러한 포항시의 상황을 반전시킬 좋은 기회이며 향후 시장 전망도 매우 밝다”고 강조했다. /박동혁기자

    박동혁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