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탐사서 장성동~양덕동 구간 총 10곳 공동화 확인과 관련
“지진 이후 눈에 띄게 달라져” vs “예전 쓰레기매립장 등이 영향”

속보=포항 북구 양덕동 일대에서 지반 침하가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에 포항시가 긴급 안전 점검에 나선<본지 5월 2일자 1면 등 보도> 가운데 지반 침하 원인을 놓고 지역이 술렁이고 있다. 원래 지반이 약한 곳이라는 주장과 지진이 지반 침하를 가속화했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앞서 국토안전관리원은 포항시의 요청으로 지난 1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포항 일대 27개 구간에 대한 지반탐사를 진행한 결과 7개 구간(8곳)에서 ‘지반표층침하’를, 3개 구간(13곳)에서 ‘공동발생구간’을 발견했다. 특히, 북구 장성동 1429-1번지∼양덕동 2234번지 구간에는 총 10곳의 공동이 몰려 있는 것으로 확인돼 상황이 심각했다.

해당 지역은 이번 조사가 있기 전부터 꾸준하게 지반 침하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곳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2014년 양덕초 지반침하로, 당시 학교 강당동은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안전등급 D등급을, 연결통로는 E등급을 받기도 했다.

이에 당시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현장을 방문해 “학생들의 안전확보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하는 등 큰 이슈가 됐다. 문제는 이러한 사례가 학교뿐 아니라 그 인근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도 침하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포항시는 지반 침하지역을 계속 점검하고 향후 대책을 마련할 계획임을 밝혔으나, 막상 지반 침하에 대한 원인에 대해서는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지역민들 사이에서 원인을 두고 논란이 지속하고 있는데, 가장 이슈가 되는 부분은 포항 지진이 영향을 미쳤는가 여부다.

우선 지진이 침하에 영향을 줬다고 주장하는 주민들은 기존에도 침하는 있어왔으나, 지진이 이를 가속화시켰다는 주장이다. 즉 지진 이후부터 침하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는 것. 양덕동 한 주민은 “처음에는 이 정도까진 아니었는데, 지진이 나고부터 지금처럼 걷잡을 수 없는 상황까지 왔다”고 말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양덕동 일대가 원래 쓰레기매립장이었고, 지반 자체가 다른 지역보다 원래 연약한 곳이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모든 건물에 침하현상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들어 애초 건물을 지을 때부터 얼마나 충실하게 지반공사를 했느냐 여부가 현 상황을 결정짓는다는 것이다.

이렇듯 논란이 지속하고 있지만, 이들 모두는 현 상황이 빨리 개선되도록 해결책 마련이 시급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포항시 관계자는 “침하가 이뤄지는 건물과 멀쩡한 건물의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아봐야 하는 등 침하 원인에 대해서는 섣불리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며 “더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충분한 모니터링을 통해 해결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