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군가의 중요성을 말한 남영신 육참총장. /연합뉴스
새 군가의 중요성을 말한 남영신 육참총장. /연합뉴스

“높은 산 깊은 골 적막한 산하 눈 내린 전선을 우리는 간다. 젊은 넋 숨져간 그때 그 자리 상처 입은 노송은 말을 잊었네. 전우여 들리는가 그 성난 목소리. 전우여 보이는가 한 맺힌 눈동자”

군가 ‘전선을 간다’다. 이 곡이 ‘최후의 5분’과 함께 군인들에게 가장 사랑 받는 군가인 이유는 간단하다. 노래가 좋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뮤지컬의 개척자이자 피아니스트로도 활동한 작곡가 최창권의 곡에 영화기획자 우용삼이 가사를 붙였다. 웅장한 오케스트라로 시작해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도입부를 지나 야수의 함성으로 포효하는 클라이맥스까지, 기승전결 구조의 선율에 서정적이고 또 격정적인 가사가 어우러져 명곡이 됐다. 부르다보면 가슴이 벅차 눈물이 맺히기도 한다.

나는 아직도 가끔 군가를 부른다. 특히 중요한 일을 앞뒀을 때, 이를테면 소개팅 가는 차 안에서 “아름다운 이 강산을 지키는 우리. 사나이 기백으로 오늘을 산다.…” ‘멸공의 횃불’이라든가 “높은 산 깊은 물을 박차고 나가는 사나이 진군에는 밤낮이 없다…” ‘진군가’를 목 터져라 부르면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면서 남성성이 극대화된다. 그러면 자신감이 생겨 말도 잘하고, 상대에게 당당한 인상을 준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삶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자신도 모르게 군가를 흥얼거리며 마음을 다잡아본 적이 있을 것이다.

군대에서 군가 부르는 게 유쾌할 리는 없지만, 그마저도 멜로디가 후지거나 노랫말이 저질이면 정말 부르기 싫다. 군가는 병사들의 사기와 연대감을 고양하고,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부르는 노래다. 때문에 역동적인 4박자 행진곡풍이 대부분이다. ‘푸른 소나무’, ‘조국이 있다’, ‘육군가’ 등이 명곡으로 꼽힌다. 지난 2011년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사한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영결식에서 해병대 장병들이 벌겋게 물든 눈을 섬광처럼 번뜩이며 ‘나가자 해병대’를 합창하는 장면은 피를 끓게 했다.

최근 육군이 신곡을 발표했다. 제목은 ‘육군, We 육군’이다. 이 곡은 현재 복무중인 장병들에게 부끄러운 ‘흑역사’를 생성해줄 가능성이 높다. 뜬금없이 영어를 넣은 제목부터 심상치 않더니 노랫말은 더 해괴하다. “육군 아미타이거 육군 육군 육군 Go Warrior Go Victory 육군 육군 육군(…) 워리어 플랫폼 최강의 전사 AI 드론봇 전우와 함께…” 이게 대한민국 육군 군가인지 ‘파워레인저’나 ‘후레쉬맨’ 따위 아동용 액션 영화 주제가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다.

가사도 그렇지만 행진곡과는 거리가 먼, 쉼표와 셋잇단음표가 자주 등장하는 지루하고 난해한 멜로디도 괴이하다. 태평소와 꽹과리를 넣은 국악풍 멜로디에 Warrior, Victory 같은 영어 가사가 얹어져 부조화를 이뤘다. 따라 부르기도 어렵고, 따라 부르고 싶지도 않다. 군가는 부르면 기운이 나야 하거늘 ‘육군, We 육군’은 한 소절 부르자마자 자괴감이 밀려온다. 네티즌들은 “있던 애국심도 사라진다”, “전시에 부르면 총 맞아 죽기 전에 웃겨 죽겠다”라며 혹평 일색이다.

지난달 22일 육군 최고 지휘부 회의에서 남영신 참모총장은 “새 군가를 기도문처럼 암기하고, 부대마다 가창 점검을 해 잘하는 부대에 포상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장병들은 이 노래를 입이 닳도록 불러야만 한다. 배식은 부실하고, 코로나19 대응도 엉성한 마당에 창피한 노래까지 불러야 하는 장병들이 불쌍하다. 사기 떨어지는 소리가 철책을 넘어갈까 걱정이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3사관학교에서 장교 임관훈련을 받을 때, 음악을 전공한 동기 김경록 군이 작곡하고 내가 작사한 ‘9중대가’는 힘찬 4박자 행진곡이었다. “우리들 가슴속 불꽃은 팔월의 태양보다 뜨겁고 우리들 외치는 함성은 폭풍 속 천둥보다 우렁차. 폼생폼사 최강 9중대! 날개를 펼쳐라. 너와 난 혼자가 아니야. 우린 영원히 함께야. 폼생폼사 최강 9중대! 더 크게 외쳐라. 우린 절대 포기하지 않아. 나가자 최강 9중대. 강하자 최강 9중대!” 일개 사관후보생 둘이 만든 이 군가를 모든 중대원이 즐겨 불렀다. 부르면 전우애가 솟았다. 국방부는 저작권료를 내고 정식 군가로 채택하는 게 어떨까. ‘9중대’를 ‘해병대’라든가 ‘수색대’로 바꾸면 되지 않을까? “육군 아미타이거”보다는 훨씬 낫고, 박목월이 작사한 ‘전우’에 이어 또 한 곡 시인의 명군가가 될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