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태수필가
조현태
수필가

우울증으로 고생하던 한 청년이 있었다. 그는 지독하게 가난했다. 한 때 기름때 찌든 작업복을 입고 기계를 고치러 다니는 일도 했고, 리어카를 끌고 다니며 사과를 팔기도 했으며, 산동네 판자촌을 돌아다니며 양말을 팔기도 했다.

그에게는 이루고 싶은 꿈이 있었다. 화가가 되고 싶었다. 그러나 아무도 그림을 사주는 사람이 없었다. 마로니에 공원과 도서관 앞에 그림을 펼쳐 놓았지만 누구도 관심을 가져 주는 이가 없었다. 그러나 낙심하지 않았다.

그는 그림 다음으로 글쓰기를 좋아했다. 야간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7년에 걸쳐 글을 썼다. 나중에 책이 출간되면 절반은 가정을 돕고 절반은 가난한 이웃에게 선한 도움을 주고 싶다고 기도하면서 썼다.

원고 뭉치를 들고 출판사를 돌아다녔지만 그의 글을 사 주는 곳이 없었다. 다섯 번이나 거절을 당했지만 주저앉지 않았다. 그가 낙심하지 않은 이유는 어딘가 자신의 글을 알아 줄 출판사가 있을 것이라 믿었기 때문이다. 여섯 번째 찾아간 출판사에서 그의 글을 출판하기로 결정했다. 이렇게 해서 수많은 독자들을 울린 베스트셀러 ‘연탄길’이 출간되었다. 마음이 따뜻하고 아름다운 이야기들이지만 ‘아픔’이 스며있는 책. 그 ‘연탄길’에 그가 그린 그림이 실려 있다. 이철환 작가의 이야기다.

그는 ‘곰보빵’에서 낙심하지 않은 이유를 고백한다. “기름때 찌든 작업복을 입고 있을 때도 나는 프란츠 카프카를 읽었고 아무도 사지 않는 그림 옆에서 고개를 들 수 없을 때도 나는 알프레드 까뮈를 읽었다. 도스토엡스키와 말라르메, 스타니슬라프스키와 헤르만 헤세가 있어 나는 절망하지 않았다. 사람을 꿈꾸게 하는 것은 기쁨이 아니었다. 아픔이었다. 나는 지금 글을 쓰며 살아가고 있다. 평화롭고 행복하다. 아름다움의 원래 모습은 아픔이었다.”

그는 이런 일도 고백하고 있다. 어느 지하철 화장실에 들어갔는데 화장실 풍경이 몹시 낯설었다. 남자들만 사용하는 소변기가 하나도 보이지 않았다. 잠시 어리둥절 하는 순간 여자 화장실로 잘못 들어간 것을 깨달았다. 깜짝 놀라 화장실을 급히 빠져나가려는데 공교롭게도 한 여성과 입구에서 마주쳤다. 그 여자 분도 깜짝 놀라 두 눈을 동그랗게 뜨고 ‘죄송하다’는 말을 강조하며 남자 화장실로 들어가버렸다. 남자화장실로 잘못 들어간 그 여자를 향해 ‘죄송합니다. 거긴 남자 화장실입니다’ 라고 소리치고는 도망쳤다고 한다.

그의 실수 때문에 그 여자 분만 애꿎게 봉변을 당하게 되었으니 몹시 죄송했으리라. 물론 앞 사람의 잘못된 선택이 뒷사람의 잘못된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픔이 성공으로 이어질 수는 있어도 실수는 이미 엎질러진 물과 같아서 되돌리지는 못한다. 다만 실수로 인한 아픔이 클수록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다.

누구인들 낙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가 없을 수야 있겠냐만 절망하지 않는 아픔과 도망치지 않는 아픔이 있어야 한다. 사람에게는 이런 원래의 모습이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