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의 8개 시·군이 정부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됐다. 경북에서는 안동시. 예천군, 포항시, 구미시, 상주시, 칠곡군, 봉화군, 울진군 등이 포함됐다.

전국적으로 6개 광역지자체와 43개 기초지자체가 선정됐는데, 이들은 교육부와 함께 지자체 스스로가 마련한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사업을 실시해 성과 결과에 따라 교육발전특구로 정식 지정을 받게 된다. 교육발전특구는 정부가 지방시대 구현을 위한 균형발전 전략으로 추진 중인 4대 특구 사업의 하나다. 기업유치를 위한 기회발전특구와 지방대도시 중심의 도심융합특구, 지역 전통과 역사를 담아내는 문화특구와 함께 교육특구는 지방 스스로가 지역 실정에 맞는 교육정책을 만들어 인재를 육성하는 사업이다. 특히 교육특구 사업에는 교육청과 지자체, 대학, 지역산업계 등이 함께 참여해 인재 육성뿐 아니라 정주기반도 새롭게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월 윤석열 대통령이 민생토론에서 밝힌 “지역이 주도하는 교육발전특구를 만들어 지역에서 양질의 교육을 받은 인재가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 목적이다. 대구와 경북은 특구 사업으로 지자체 연계형 늘봄시스템 구축과 지역대학 및 산업계와 연계한 자율형 공립고 운영 등 다양한 지역특화형의 사업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문제는 이런 계획이 제대로 실현돼 성과를 내고 실제로 지역에서 양성된 인재가 지역에 남는 특구지정 효과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 6개 광역지자체와 43개 기초지자체가 저마다 아이디어를 내고 특구사업을 벌이더라도 수도권으로 가는 청년들의 발길을 잡을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교육발전 특구 등 정부가 추진하는 4대 특구사업이 지역균형발전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수도권에 지나치게 치우쳐져 있는 수도권 집중의 벽을 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역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교육혁신이 이뤄져야 한다. 교육청과 지역사회가 깊이 고민하고 뼈 깎는 노력으로 교육발전 특구의 기회를 놀라운 성과로 만들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