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째 맞는 의료공백 사태가 장기화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의료공백이 길어지면 진료를 받지 못한 환자 사이에 대혼란 상황이 올지도 모르니 정부 대책만 믿지 말고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정부가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 등 강경한 조치에도 병원을 떠난 전공의의 72%가 병원으로 돌아오지 않고 있다. 현재로서는 복귀 가능성도 낮다. 이들로 인한 업무 공백이 길어지면 수술 예약과 신규환자 입원, 외래환자 진료 등 진료 공백이 불가피하다.

지금은 병원을 떠난 전공의 대신 전임의들이 의료 현장을 지키고 있으나 업무 과중 등으로 대구시내 일부 대학병원에서는 진료가 불가능한 과들이 점차 늘고 있다고 한다. 병원 관계자는 전임의까지 흔들리면 이번 주가 한계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다. 영남대병원의 경우 소아외과, 성형외과 등 일부 과가 의료진 부족으로 환자 수용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칠곡경북대병원도 일부 과의 진료가 차질을 빚는 등 대학병원마다 진료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라 걱정이 된다.

경북도는 지난달부터 각 시군별 24시간 비상연락 체계를 구축하고 의료기관 비상진료체제 유지와 필수의료 운영 여부 등을 점검하고 있다. 5일에는 김학홍 행정부지사를 위원장으로 경북소방본부,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병원장 등으로 응급의료협의체를 구성하고 기관별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지역 소재 대형병원들의 정상 진료는 사실상 어렵다. 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의료공백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 어떤 이유로도 환자들이 의사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정부는 의료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에 대해 면허정지 등 강경책과 더불어 설득하는 노력도 더해야 한다. 4일 마감한 의과대학 정원 신청은 정부가 계획한 2천명선을 넘었다고 하니 과도한 증원이라던 의료계의 주장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의협은 정부와 대화에 나서고 정부와 지자체는 의료 공백 최소화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