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

어떤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지켜야 하는 행동규범을 직업윤리라 한다. 직종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윤리적 규정이 있을 수 있지만, 교육이나 종교와 같은 사회적 영향력이 큰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일수록 보다 높은 수준의 윤리적 기준이 요구된다. 또한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직업이나 사회의 정의구현을 담당하는 직업,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살피는 직업에도 못지않은 도덕성과 책임의식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러한 직종의 종사자들이 윤리규정을 어겼을 때는 더 엄격하게 법적 제재나 지탄을 받게 된다.

한국인들이 가장 선망하는 직업 중 하나가 의사라고 한다. 정년의 제한이 없는 안정된 직업인데다 고액의 연봉이 보장되기 때문일 것이다. 또 한편 병든 사람을 낫게 하고 사고로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기도 하는,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존경받는 직업이라는 자부심과 보람도 적지 않을 터이다. 오랜 기간 공부와 수련을 거처야 하는 고도의 전문직인 만큼 그에 상당하는 대우를 받아야겠지만 그만큼 직업적 윤리의식도 높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의과대학을 졸업할 때는 의사들이 지켜야 할 윤리와 규범 등을 내용으로 하는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낭독하기도 한다.

인간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의료(醫療)다. 빈곤한 나라일수록 먹는 것 못지않게 절실한 것이 의사와 의료 시설이다. 간단한 의약품조차 없어 죽어간 사람들도 부지기수라 한다. 아프리카 가봉에 가서 평생 의료 봉사를 한 알베르트 슈바이처나 아프리카 남수단에서 의료 활동을 펼친 이태석 신부 같은 사람들은 단순한 직업 윤리의 차원을 넘어 지극한 인류애를 실천한 인물로 칭송과 존경을 받는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 6일 보건의료 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3천58명으로 동결됐던 의대 정원을 2025학년도 입시에서 5천58명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도 국무회의에서 2035년까지 의사 1만5천명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며 증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정부 시책에 의사들은 강력 반발하면서 집단행동에 들어갔다. 현재 전공의들 80% 가량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그 중 대다수가 의료 현장을 떠난 상태다. 지난 12일에는 전국 19개 의과대학 교수들까지 공동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의결했다.

의대생 증원에 대해 의사들이 왜 그토록 강력하게 반발을 하는 걸까. 이런저런 구실을 대지만 결국 의사의 수가 늘어나면 그만큼 수익이 줄어들 것에 대한 우려가 제일의 이유일 터이다. 하지만 그것은 의료대란을 일으켜 의료계를 마비시킬 만큼의 타당성을 갖지는 못한다. 의사란 직업을 돈벌이 수단으로만 생각해서도 안 되지만, 자유경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 다른 직업들과의 형평성도 맞지 않는다.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현대에 맞게 개정한 제네바 선언에는 이런 조항이 있다. “나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째로 생각하겠노라.” 의사가 환자 곁에 있어야 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