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많이 한 날은 왠지 속이 텅 빈 것 같다. 내 속의 무언가를 다 끄집어내 보여준 것 같아 기분마저 가라앉는다. 마음이 맞는 사람들과 많은 얘기를 나눌 때도 있다. 그런 날은 가슴이 꽉 차게 느껴지지만, 나 혼자 떠든 것 같은 날은 왠지 마음 한 쪽 구석에 찬바람이 휭 하니 지나간다. 주책없이 하지 않아도 될 말들을 왜 했을까? 다시 주워 담을 수 없어 괜히 머리만 쥐어박는다. 나는 말을 좋아하면서도 싫어한다.

한자를 찾아 옥편을 뒤적이다 획순이 가장 많은 글자는 무슨 자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획순 따라 가장 뒷면을 펼치니 총획수가 64획이나 되는 ‘말 많을 절’이 있었다.

용(龍)자가 네 개나 붙어 있는 글자다. 한 마리만 해도 획수가 많은데 위 아래로 포개듯이 네 마리나 있으니 그 수가 좀 많겠는가. 그런데 왜 용이 많으면 말이 많을까? 낙관(落款) 같은 글자의 모양에 관심이 일었다.

용은 우두머리를 뜻하지 않을까? 우두머리 넷을 한 글자에 담았다는 자체에 생각이 머물렀다. 용이 넷이나 되니 서로 자기가 최고라고 자칭하게 될 것이고, 그러자면 자연 말이 많아 시끄러울 것이라는 쪽으로 마음이 갔다. 같은 용이지만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을까? 위에 있는 것과 아래에 있는 용이 다를 것이고, 좌청룡 우백호를 따지는 입장에서 보자면 같은 위에 있더라도 직책은 다를 것이다. ‘말 많을 절’자 안에는 같은 용이지만 네 가지의 계급이 존재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이 꼬리를 물어 가만히 들여다보니 글자 안의 용들이 꿈틀거린다. 누가 더 힘이 셀까? 네 마리의 용의 모양은 같지만, 품성은 다 다르게 보인다. 네 자리 중 서로 더 나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물고 뜯는다. 서로를 비방하고 모함하며 모두 제가 가장 잘났다고 내세우기에 바쁘다. 남의 얘기는 들으려 하지 않기에 나와 상대를 비교분석 해야 한다는 것은 애초에 없다. 단지 내가 아니면 안 될 이유만 말 할 뿐이다.

그 글자 안에는 말만 많은 것이 아니라 욕심도 많다. 세상과 단체를 위한다는 대의명분 속에 감춰진 마음을 조금도 버릴 수가 없어 한 치의 양보도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을 진정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는 능력을 누가 더 갖추고 있는지 차근차근 따져, 나보다 더 나은 한 마리의 용에게 선뜻 여의주를 넘겨주는 모습을 상상해 본다. 남은 세 마리의 용이 그 자리에서 물러나 추천된 용을 적극적으로 지지해 준다면 아마 그 글자는 처음부터 ‘말 많은 절’자가 되지도 않았을 것이다.

윤명희 수필가
윤명희 수필가

용(龍)은 하나일 때 빛이 난다. 상대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결코 용이 될 수 없다. 그저 ‘말 많을 절’자에 불과하다. 말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그들은 모습만 용일 뿐 이무기에 불과하다고 생각된다. 그들은 자신을 용이라 하겠지만, 멀리서 보는 내 눈에는 그들이 말 많은 한 무리로 보일 뿐이다. 여의주를 잡기 위해 몸부림치는 용들로 인해 그 글자는 지금도 복잡하다.

좁은 내 생활의 테두리 안에도 작지만 용의 자리는 있다. 예전, 어느 단체에서 잠시 네 마리의 용 틈에 있었던 적이 있다. 지나고 보니 그 자리였지, 정작 그때는 몰랐다. 그런데 한 사람이 계속 다른 사람들의 험담을 내게 해서 마음이 복잡했다. 그가 다른 이에게 내 말을 하는 것을 안 것은 나중의 일이었다. 나는 그것도 모른 체 이상해져 가는 단체 분위기에 갈팡질팡했다. 말 속에 있는 내가 싫어 그 단체를 나왔다. 시간이 흘러, 한 발짝 뒤에서 보니 그녀가 단체장을 하고 싶어 하는 것 같다는 것을 알았다.

뉴스에서 보는 정치가들의 모습이 내가 속한 단체에서 보였다. 서로 화합하면 재미있을 일이 누가 회장이냐에 따라 갈라지는 것을 보면서 나는 네모난 낙관(落款)처럼 생긴 ‘말 많을 절’자를 가슴에 찍는다. 다만, 내가 그 속에 들어가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용 뒤에서 비록 내 존재가 보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