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이른 봄 마중을 하듯이 새벽같이 남도로 향했다. 만물이 깨어난다는 경칩 즈음이라 이런저런 봄 채비로 바빠도, 통영에서 불어오는 봄빛 바람을 쐬니 부드럽고 여유롭기만 했다. 기온이 살짝 올라가는 틈을 타 미세먼지가 복병처럼 도사려 안경에 서린 김 마냥 시야를 희뿌옇게 하는가 싶었었는데, 배를 타고 먼 바다로 나아갈수록 해풍의 희석 때문인지 수평선과 섬들의 전망은 대체로 선명한 편이었다.

갈매기들의 어설픈 외침이 환호처럼 들리고 바다의 흰 포말이 배웅으로 이어지는 뱃길을 달려 접안한 곳은 바다 위에 핀 연꽃 같은 섬, 연화도(蓮花島)였다. 경남 통영항에서 남쪽으로 24㎞ 해상에 위치한 연화도는 말 그대로 연꽃섬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데, 실제로 북쪽 바다에서 바라보는 연화도의 모습은 꽃잎이 하나하나 겹겹이 봉오리 진 연꽃을 떠올리게 하는 모양새다. 섬 중앙에 연화봉(212m)이 솟아 있고 동남쪽 해안에는 해식애(海蝕崖)가 발달하여 연화포구를 둘러싼 사방이 기암절벽으로, 용이 대양을 향해 헤엄쳐 나가는 모습의 용머리 바위가 통영8경의 하나일 정도로 장관을 이루고 있다.

‘연꽃 고이 접어/물 위에 띄어 놓고//자비로운 부처님/품 안에 안고//망망대해/흘러흘러 와 자리잡고//오늘도/누구를 기다리나//물 위에 떠 있는/연꽃잎’ - 최용순 시 ‘연화도’ 전문

연화도항 서쪽으로 난 등산로를 따라 연꽃잎 속으로 스며들듯 서서히 등산을 시작했다. 초입부터 가파른 비탈길이 만만찮았지만, 이내 연화도항과 북쪽의 우도가 한눈에 들어오는 언덕에서 숨결을 고르며 조망하는 경관은 섬산행의 설렘을 부추겼다. 울산과 마산 등지에서 왔다는 등산객들로 한적한 등산로가 붐비고, 오다가다 만나는 사람들과 가볍게 대화하며 오르다 보니 금세 정상에 이르렀다. 넓직한 연화봉 정상에는 보기 드물게 아미타대불이 연화사를 향해 우뚝 서있고, 그 뒤로는 활달한 행서체의 주련이 걸린 팔각정이 망망대해의 운치를 더해주는 듯했다.

정상에서 동남쪽으로 그림처럼 펼쳐진 용머리 해안은 연화도 절경의 압권이었다. 깎아지른 절벽 아래로는 하얀 파도의 포말이 쉴 새 없이 말을 걸어오는 듯하고, 올망졸망 이어지는 연화열도는 마치 승천하려는 용의 용틀임같이 힘찬 기세를 모으는 듯했다. 반대쪽인 용두마을의 해변은 밋밋하고 고요의 바다에서 파도 한 점 일지 않아 길쭉한 용머리 능선을 사이에 두고 극명한 대비를 보여주고 있었다. 자연의 양면성은 이렇듯 보채거나 서두르지 않고 있는 그대로 서로 품고 보듬으며 제각각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인간사회에서는 매양 매시 바람 잘 날 없이 아웅대고 티격거리며 갈등양상이 멈추지 않으니 ‘자연을 법으로 삼는다는 도(道法自然)’는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수년 전 주마간산 격으로 다녀온 연화도를 다시 찾아 산행과 아울러 싸목싸목 걸어가며 주위를 살피니 보이고 들리는 것이 많았음에라! 산이나 강, 섬이나 뭍을 찾는 곳 어디에나 늘 반기며 기댈 수 있는 심신의 안식처, 자연을 가까이하면 할수록 병원과는 멀어지지 않을까 싶다. 망중한의 여유로 자연을 즐겨 찾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