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법상 대리투표 관련 규정은 없지만 어떤 경우든 대리투표는 용납되지 않는 불법에 해당한다는 게 여야의 공통된 인식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민주당 의원들이 한나라당 의석에서 역투표를 했다’고, 민주당은 ‘한나라당 의원들이 동료 한나라당 의원 자리에서 찬성투표를 했다’고 각각 주장하며 날선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야당이 여당 의석을 돌아다니며 투표 단말기의 취소 버튼을 누른다든지 여당 의원의 투표 행위를 광범위하게 방해한 의혹이 나타나고 있다”며 사례수집을 지시했다.
그는 또 이윤성 국회부의장이 당시 투표를 대신 해달라고 언급했다는 음성녹음과 관련, “의장단은 의사진행에 전념하기 위해 국회 직원에게 대신 표결을 해달라는 지시를 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김영우 의원도 자신의 대리투표 의혹 동영상과 관련,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계획이며, 이범래 의원 역시 자신의 투표 단말기에서 반대표를 던진 민주당 의원을 고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병헌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한나라당 의원들이) 투표권한이 아닌 곳을 돌면서 투표했다는 동영상 증거가 나오고 있다”며 “한사람이 5∼6표를 행사한 것이므로 원천 무효”라고 강조했다.
서갑원 의원도 보도자료를 통해 “‘역대리투표’는 전혀 하지 않았다”면서 의혹을 제기한 한나라당 장광근 사무총장의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앞으로 대리투표를 입증할 채증활동에 주력하는 한편, 민노당 등 다른 야당 및 시민단체와 공조해 미디어법 무효화를 촉구하는 장외투쟁을 전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