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싶어도 참는 것
손 내밀고 싶어도
그저 손으로 손가락들을 만지작이고 있는 것
그런 게 바위도 되고
바위 밑의 꽃도 되고 蘭도 되고 하는 걸까?
아니면 웅덩이가 되어서
지나는 구름 같은 걸 둘둘 말아
가슴에 넣어두는 걸까?
빠져나갈 자리 마땅찮은 구름떼 바쁜
새로 생긴 저녁
- 장석남 시집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문학과지성사·2005)
시의 제목이 ‘새로 생긴 저녁’이라니, 저녁이 새로 생길 수도 있는가? 그렇다. 너 때문이다. 사랑하는 당신 때문에, 애타는 그리움으로 몸과 마음이 다 젖어 “바위도 되고 /바위 밑의 꽃도 되고 蘭도 되고 하는” 것이다. 이런 사랑의 마음을 “웅덩이가 되어서/지나는 구름 같은 걸 둘둘 말아/가슴에 넣어두는” 것이라는 장석남의 노래를 듣고 있노라면 목석같은 내 마음이 다 사랑의 보자기 속으로 수루룩 말려드는 것만 같다. 그리움과 사랑의 눈빛인데 아침이든 저녁이든 새로 생기지 않을 수 있으랴. 남자라도 이렇게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과는 석 달 열흘 쯤 함께 살며 그가 부르는 노래를 따라 부르고 싶다.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혹은 ‘혹은 당신 때문에 흘린 눈물은 다 어디로 가시려는가?’ 라는 물음을 되새기면서 장석남의 시집을 읽는 즐거움을 그대도 가져보시라.
해설<이종암·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