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제5회 6·2전국지방지방선거가 현행대로라면 역대사상 최다인 1인8표를 행사하게 된다.
경북에서는 지난 4·29 교육감 첫 직선제를 치른 후 또한번 직선제 교육감을 뽑고, 1995년 전국 동시선거가 실시된 이후 처음으로 교육의원(교육위원) 5명을 주민손으로 선출한다.
유권자들은 대구시장과 경북지사를 비롯, 대구·경북 자치단체장 31명(대구 8, 경북23)과 광역의원 76명(대구 26, 경북 50), 기초의원 400명(대구 116, 경북 284)을 선택한다.
여기에다 광역의원과 기초의원의 비례대표를 합하면 모두 8번의 투표를 해야 한다.
하지만 내년 지선에 있어 중요한 변수는 선거구 재획정 등으로 의원 정수 변동이 불가피 하다는데 있다.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 구·시·군별로 2인씩 선출했던 광역의원과 중선거구제가 도입됐던 기초의원의 경우 일부 선거구가 인구 편차를 감안하지 않고 획정돼 연말까지 재획정돼야 한다.
광역의원 선거구는 지난 3월말 인구를 기준으로 대구는 중구 의원수가 줄어든다.
경북은 포항남구·울릉 1명, 고령·성주·칠곡 1명, 군위 1명, 청송 1명, 영양·봉화 2명, 영덕 1명 등이 줄어든다.
반면 포항 북구 1명, 경주시 2명, 구미 갑 1명, 경산시 1명 등 4곳에 도의원 수가가 늘어난다.
때문에 대구시의원과 경북도의원들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의원 수가 줄어드면 자칫 동료의원간 한치 양보 없는 싸움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광역의원 선거구는 지역 대표성 등을 이유로 감축 지역에서의 반발이 크다.
여기에 교육의원 도입으로 인한 변동도 예상돼 선거법 등의 개정 과정을 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기초의원 선거구 역시 소선거구제로의 전환이 논의되고 있어 선거법 개정에 따른 조례 개정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김성용기자 kims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