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제품 수출 상황실 설치<BR>대구은행 등 시중은행과 협의<BR>기업에 안전자금 융자키로<BR>3%대 이자보전 예산도 확보
포항시가 미국의 무역관세 장벽에 대응하기 위해 시청내(투자기업지원과)에 `철강제품 수출 상황실`을 12일 설치했다.
`철강제품 수출 상황실`은 향후 진행되는 철강분야 국제무역 관계 상황 관리,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정부 부처에 산재된 수출지원 업무 연계 및 소개 업무 등을 주로 하는 포항상의 `수출지원센터`와 공조를 취해 국제통상, 무역에 관한 업무 능력을 배양하게 된다.
또 지난달 27일 이강덕 포항시장을 비롯해 포항시의회, 포항상공회의소, 포항철강관리공단,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넥스틸 등 지역의 재계·철강업계의 긴급 간담회에 따른 후속 조치다.
이에 따라 포항시는 가까운 시일 내에 지역 내 철강제품을 생산하고 수출하는 기업들에 대해 긴급 경영안정자금 특별 융자가 가능하도록 대구은행 등 시중은행과 협의를 하고 포항시가 부담하는 3%대의 이자보전 예산 확보를 위해 이번 제1회 추경예산 편성 시 관련 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키로 하는 등 미국 철강 규제에 따른 대응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아울러, 포항시는 현재 포항상의에서 추진 중인 `수출지원 활성화 사업`에 대해서도 신흥 해외시장 개척, 해외통상교류 업무 외에 이번 기회에 중앙부처 연계한 수출지원 업무의 추진, 국제 통상·무역에 관한 정보 관리 및 적절한 대응 등 실질적인 수출기업 지원 사업을 확대하기로 하고 이에 필요한 예산 또한 이번 추경예산에 확보할 방침이다.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제품 수입제한 조치가 별다른 변동없이 오는 23일부터 효력이 발생하게 되면 포항 지역의 주력 생산품인 철강(강관)제품은 25%의 관세를 피하기 어려워진다. 이번 미국의 캐나다, 멕시코, 호주를 제외한 일괄 25% 관세는 철강업체별·품목별 기존의 반덤핑 또는 상계관세와는 별개로 부과되는 것이다. 이에 지역 철강업체 중 특히 대미 수출 비중이 큰 강관 수출업체들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포항 지역은 지난 2014년 기준 지역 내 총생산(GRDP) 17조4천781억원 중 제조업이 7조4천444억원으로 42.6%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 중에서도 철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85%를 상회하는 명실상부한 철강도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미국의 철강 관세는 비록 국가 간 통상업무지만 지방화 시대 우리 지자체에서도 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일들은 적극 찾아 지역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