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병대 추락헬기’ 민관군 합동조사위 출범

이바름기자
등록일 2018-08-09 21:22 게재일 2018-08-09 5면
스크랩버튼
총 37명 전문가로 구성<br />해외 전문가 섭외 추진도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추락사고 조사를 위한 민·관·군 합동 사고조사위원회가 8일 출범했다.

해병대 사령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사고조사위 최초 회의를 해병대 1사단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조사위 위원장은 공군사관학교 교수인 권재상 예비역 대령이 맡았다. 권 위원장은 이번 사고로 숨진 해병대 장병 유가족 측이 추천한 인사다. 조사위에는 항공안전관리, 금속공학, 헬기 유동 전문가와 미국 해병대 항공 전문가 등 9명(민)과 국토교통부·서울지방경찰청·산림청·소방청에서 추천한 항공 전문가 5명(관), 비행·정비·수사 및 일반분야 22명(군)이 포함됐다. 독립적으로 활동하게 되는 조사위는 국방부와 해병대 사령부에서 운영하는 사고조사지원TF의 지원을 받는다.

이와 함께 조사위는 지난 2016년 노르웨이 ‘슈퍼 퓨마’ 사고 조사에 참가했던 외국 전문가 섭외도 추진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수리온(마린온의 원형) 헬기 개발 당시 기술제휴 업체인 에어버스 헬리콥터가 제작한 ‘슈퍼 푸마’ 헬기도 지난 2016년 추락했다.

한편, 해병대는 지난달 17일 마린온 추락사고 발생 직후 조영수 전력기획실장(준장)을 조사위원장으로 육·해·공군 항공분야 전문가들로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원인을 조사해왔다.

그러나 유족 측에서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민간 전문가도 조사위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지난달 21일 민·관·군 합동조사위를 양측 동수로 구성하고 위원장은 유족 측에서 추천하는 인물로 선임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바름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