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원내대표는 “당내 정파적 이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분이라는 점에서, 대표 경선의 와중에 ‘재난 구호금은 선별적으로 지원돼야 한다’는 소신을 견지한 점에서 거는 기대가 크다”면서 “재난구호금 10조원씩 100번 나눠줘도 아무 문제 없다는 선동적인 구호가 스며들도록 방치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여야 대화의 채널이 오랫동안 두절 상태”라며 “코로나 전쟁을 비롯한 국가적 현안에 여야가 본격적으로 머리를 맞댔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김대중 평민당 총재의 제안으로 1987년 체제 이후 지켜 온 ‘의장단-상임위원장단’ 구성의 원칙이 다 허물어졌다”고 지적한 뒤 “여당이 힘으로 깨부순 것을 그대로 방치할 것인가”라고 이 대표에게 물었다. 여야 협치를 위해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포함해 전체 상임위원장을 민주당이 차지한 상황에 대한 해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주 원내대표는 또 “이 대표가 국회에 비상경제 에너지 저출산 균형발전 4개 특위를 설치하자고 제안한 것을 환영한다. 야당도 적극 참여할 생각”이라면서도 “검찰과 경찰, 사법부, 헌법재판소를 포함한 사법기구들이 청와대의 직접적인 영향력 아래 들어가고 사법기구를 감독해야 할 국회법사위원장까지 여당이 가져갔다”고 했다.
그는 특히 “법의 잣대가 고무줄처럼 늘어났다 줄었다 하면 국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사라진다. 국민의 신뢰가 사라지면 나라가 위태로워진다”며 “그래서 우리는 국회에서 사법감시 특위를 별도로 둘 것을 제안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이 대표님의 현명한 판단이 있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박형남기자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