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사용 유형별(건수 기준)로는 연구개발 목적 외 사용이 37.9%로 가장 많았다. 이어 허위 및 중복 증빙(19.7%), 인건비 유용(15.4%), 납품 기업과 공모(14.6%)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환수 결정액 중 돌려받은 금액은 668억2천만원으로 회수율이 61.2%에 그쳤다. 지난 2014년 환수 결정액 139억6천만원 중 환수가 모두 끝난 금액은 36억3천만원으로 26.0%에 불과했고 지난 2012년(45.9%)과 지난 2013년(49.6%) 환수 결정액 역시 절반도 돌려받지 못했다.
양금희 의원은 “수년이 흘렀음에도 환수 결정액 대비 환수율이 저조한 것은 문제”이라며 “R&D 비용이 부정하게 사용되지 않도록 예방하고 관리하는 동시에 부정 사용 시에는 단기간 내 끝까지 환수한다는 점을 관련 당국이 명확히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