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코로나19 대책위’<br/>코로나 백신 미확보에 비판<br/>백신 개발 상황 투명한 보고<br/>‘범정부백신구매단’ 구성 등<br/>정부에 5개 사항 촉구
국민의힘이 정부의 지지부진한 코로나19 백신 확보에 대한 비판공세에 나섰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비대위회의에서 “코로나 확진자 수가 1,000명이 넘어가서 국민들은 굉장히 혼란 속에 빠져있다”면서 “정부가 자랑하는 K-방역이라는 것은 이제 거의 한계에 봉착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지금까지 방역 체제에 대한 보다 더 면밀한 검토를 해서 지금 같은 형태의 방역 체제가 한계에 봉착했다는 것을 냉정하게 판단해서 새로운 방역 체제를 구축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백신과 관련, “내년 3월이면 백신의 주입이 가능한 것처럼 얘기하는 사람도 있는데 실제로 백신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과연 그것을 믿을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의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면서 “대통령은 지난 3월 코로나 백신 개발을 공언한 바 있는데 그동안 백신 개발 진행 상황에 대해 국민들에게 소상히 보고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이어 “미국, 영국 등은 이미 접종이 시작된 반면 우리는 왜 아직 백신 개발도 백신 구매도 제대로 되지 않는지 국민적 궁금증에 대한 답해달라”면서 “얼마 전까지 복지부 장관은 백신 확보에 불리하지 않은 입장이라고 밝히는 등 국민들의 눈과 귀를 가리는 거짓말을 일삼아 국민 신뢰를 크게 상실한 바 있는데 어떻게 조치할 것인지 밝혀달라”고 촉구했다.
배준영 대변인은 서면 논평에서 “K-방역이란 정부가 1천200억원의 홍보비로 쌓은 모래성임이 밝혀졌다”며 “확보했다는 백신마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쭉정이 백신’으로 의심받고 있다”고 말했다.
배 대변인은 “이제 코로나19 쓰나미에 K-방역은 형체도 없어질 것”이라며 “모더나, 화이자를 포함한 11개 백신 개발업체와도 긴밀한 협의를 해서 이제라도 백신을 더 빨리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성일종 비대위원은 “예산에 통신비는 반영시키면서 백신확보비는 반영시키지 않으려 했던 민주당의 행태는 이해할 수 없다”며 팬데믹 상황에 국가의 백신확보를 의무화하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미애 비대위원은 “백신 확보에 불리하지 않은 여건인데 지금까지 뭐했나”라며“대통령은 긴 터널의 끝이 보인다는 유체이탈 화법으로 국민을 염장 지를 게 아니라 국민이 진정 궁금해 하는 질문에 답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은 내년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위한 ‘범정부 백신 구매단’ 구성을 촉구했다. 주호영 원내대표와 신상진 코로나19 대책특위 위원장 등은 이날 오후 국회 기자회견에서 “내년 1월부터라도 접종을 시작할 수 있도록 ‘범정부 백신 구매단’을 구성해 국가적인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의료진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 국가고시를 다시 치르도록 조속히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의사 출신인 신 위원장은 “미국에서는 화이자 백신을 이송하는데 육군 대장이 수송책임을 맡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백신을 구하기 위해 부처에 상관없이 총동원해야 하는 전시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이제라도 백신 확보 실패에 대해 국민에게 용서를 구하고, 구체적인 백신 구매 현황과 접종 시기 등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위원장은 수도권 등 확진자 급증지역부터 거주자 전원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작하고 △택배 근로자 △ 배달·방문판매업 종사자 △ 젊은 층과 요양병원 등 노인시설 관련자 등에 대해 ‘신속진단 대량선별검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관 합동 총괄 컨트롤타워’의 구성도 요구했다.
의료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의사국가고시를 다시 치를 수 있게 해 2천700여명의 신규의사가 현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자”고 주장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