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문 대통령 공급 합의”<br/>당초 1천만 명 분량의 두배<br/>시기도 3분기서 앞당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8일 미국 제약회사인 모더나의 스테판 반셀 최고경영자(CEO)와의 통화에서 모더나가 한국에 2천만 명 분량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청와대가 29일 밝혔다. 이는 당초 정부가 모더나와의 협상을 통해 확보하려했던 1천만 명 분량의 두 배에 해당한다. 또한 문 대통령과 반셀 CEO는 내년 3분기로 예정돼 있던 백신 공급 시기도 앞당겨 2분기부터 들여오기로 했고, 공급 시기를 더 앞당기기 위한 추가 노력을 계속하기로 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통화에서 모더나 백신이 거두고 있는 성공과 긴급사용 승인을 받은 점 등을 축하한 후 “코로나 극복의 희망이 되고 있다는 점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 감사하다”고 말했다.
반셀 CEO는 문 대통령에게 “백신이 조기에 공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한국 정부가 빠른 계약 체결을 원하면 연내에도 계약 체결이 가능하다”고 했고, 문 대통령은 “가급적 연내 계약 체결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모더나는 백신공급 계약을 연내에 체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강 대변인은 아스트라제네카 등 기존 백신 공급계약에 더해 모더나와의 계약이 이뤄지면 총 5천600만 명이 맞을 수 있는 백신을 연내에 확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보건당국은 전날 아스트라제네카와 1천만 명분, 얀센과 600만 명분, 화이자와 1천만 명분의 공급계약을 완료했고, 백신 공동구매와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를 통해서도 1천만 명분을 공급받기로 하는 등 총 3천6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강 대변인은 “노바백스, 화이자 등과의 추가 협상이 끝나면 백신 확보 물량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문 대통령과 반셀 CEO는 통화에서 국립보건 감염병 연구소와 팬데믹 공동대응 및 백신물질 개발, 임상실험, 연구개발에 협력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로 했다. 나아가 모더나 백신을 한국 기업이 위탁생산하기 위한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