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통합광역체계 위한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 추진을”

이창훈기자
등록일 2021-08-22 19:32 게재일 2021-08-23 2면
스크랩버튼
이선희 경북도의원<br/>본회의 도정질문 통해 강조<br/>나기보 의원, 경북혁신도시 <br/>지역산업육성과 공공기관 <br/>2차 이전 준비책 마련 촉구
이선희 경북도의원, 나기보 경북도의원
이선희 경북도의원, 나기보 경북도의원

경북도의회가 특별지방자치단체와 혁신도시 산업육성을 경북도에 촉구했다.

경북도의회 이선희(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일 임시회 제1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 추진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가 유보돼 있지만,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갖는 취지와 목표는 자치분권 2.0시대를 맞이하는 지금에도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첨단산업, 광역교통, 관광, 공동자원 활용 등을 통한 초광역 행정권이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소멸 우려가 큰 지역에 대해 통합광역체계를 이룰 수 있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부울경,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비수도권 광역자치단체들이 적극적으로 메가시티 등 특별지방자치단체를 구축하기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 반해, 경북도의 논의는 지지부진하다고 꼬집었다.


경북도의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 및 운용을 위한 준비체계 구축과 함께 지역 간 동반성장 발전 전략을 마련할 것도 주문했다. 이 같은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출범이 행정통합에 대한 경험의 축적과 추진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경북도 차원의 체계적 대책도 요구했다.


이와 관련, 도시 간 상생협력을 통한 지역발전의 대안은 광역행정의 수요가 높은 교통, 관광, 환경 분야에서부터 시작돼야 하고, 특히 대중교통 광역환승 체계는 교통비부담을 줄이는 교통복지의 실현인 만큼, 대구와 가까운 고령, 성주, 칠곡과 함께 청도 등에 대해 시도민의 원활한 왕래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의 단초가 되도록 시내버스 노선연장, 환승 등에 대한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2023년말 개통하는 대구권 광역철도 대구-경산 간 사업을 청도까지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경북도에서 의지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나기보(국민의힘) 의원은 경북혁신도시 지역산업육성 대책과 혁신도시 공공기관 2차 이전 준비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나 의원은 “김천에 있는 경북혁신도시에 공공기관의 이전이 완료됐으나 혁신도시 이전에 따른 지역발전을 체감하기 어렵다”며 “전국 혁신도시의 민간기업 입주 현황을 보면 2021년 6월 기준 전국 혁신도시의 총 2천232개 입주기업 중 경북은 고작 64개에 불과해, 경남 507개, 광주·전남 506개, 전북 443개와 비교해 그 유치실적이 저조하고, 산학연클러스터 분양률 52%(전국평균 72%), 입주율 38.7%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지역육성산업 실적은 2019년 10억원, 2020년에는 250억원으로 크게 증가했으나, 2021년 다시 88억원으로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는 등 일관되고 지속적인 투자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2022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국 지자체들이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경북도는 아직 큰 가닥을 잡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연관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산업육성 및 투자유치활성화 방안 마련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폭제가 될 ‘혁신도시 시즌2’의 공공기관 추가 이전과 관련한 철저한 준비와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