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시·경북도 공동 특별자치단체 설립 관련 연구용역 착수

이창훈기자
등록일 2021-08-23 20:31 게재일 2021-08-24 1면
스크랩버튼
12월께 추진 일정 등 최종 보고서<br/>광역교통 환승 등 3대 현안 ‘병행’
(가칭)대구경북 특별지방자치단체설립과 관련, 경북도와 대구시는 공동으로 23일 오후 도청에서 ‘(가칭)대구경북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방안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은 특별지방자치단체 내용의 범위, 추진 일정, 시도의 정책 방향 등을 조율한다.


이번 용역의 주요 내용은 특별지자체의 구체적인 설치방안과 수행할 광역사무의 발굴, 특별지방자치단체의 명칭, 관할구역, 사무소의 위치, 의회의 조직 및 운영, 집행기관의 조직 및 운영, 경비의 부담 및 지출 방법 등을 담은 규약안을 마련한다.


올해 12월께 최종보고서가 제출되면 시도는 본격적으로 광역업무 관련 시민단체 등의 의견을 듣고 최종 규약안을 확정해 양 시도의회의 의결을 거친 후 행정안전부 승인의 과정 등의 법적 절차를 이행한다는 복안이다.


이번 용역은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에서 지난해 9월부터 8개월 동안 온라인 토론회와 권역별 토론회, 여론조사 등을 통해 시도민의 의견을 담은 통합의 기본구상안 및 특별법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시도민의 공감대 확산이 부족하다는 사유로 통합의 시기를 장기 과제로 전환하고, 개정된 지방자치법으로 실시 가능한 특정 기능 중심의 특별자치단체 설치 추진을 제안받았다.


이에 따라, 경북도와 대구시는 특별지자체의 설립은 법적으로 가능하나, 국내에서 처음 시행하는 만큼, 해외 사례의 분석과 지역 실정에 맞는 특별지자체 설립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교통, 관광 등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정책과제로 의뢰했다.


이와는 별도로 경북도와 대구시는 시도민의 통합에 대한 심리적·물리적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광역교통 환승제, 광역철도 순환망 확충,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등 3대 현안 과제도 병행 추진키로 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