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원전동맹, 기자회견서 촉구
경북 포항시와 봉화군 등 전국 원자력발전소 인근지역 동맹(전국원전동맹)이 25일 광역별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설치를 강력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 원전동맹은 지난 2019년 원전 소재지가 아닌 원전 인근 기초지자체 16곳으로 구성됐다. 부산 해운대·금정구, 울산 중·남·동·북구, 전남 무안·함평·장성군, 전북 부안·고창군, 경북 포항시·봉화군, 경남 양산시, 강원 삼척시, 대전 유성구 등이 가입해 있다. 소속 주민이 314만 명이다.
전국원전동맹 회장인 박태완 울산 중구청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광역별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설치를 촉구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에서 전국원전동맹은 “임시저장시설에 43년간 보관되고 있는 51만 다발(2천280만 개)의 사용후핵연료를 서울, 경기를 비롯한 원전이 소재하지 않는 광역지자체에 분산배치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을 증설하고 고준위 방폐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입안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대한 특별법’을 즉시 폐기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전국원전동맹은 “정치권이 친원전, 탈원전 논쟁을 중단하고 미래 세대들에게 모든 관리책임을 전가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에 대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또 원전소재지 주민의견 수렴으로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설치를 가능하게 하여 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을 핵폐기장으로 활용하려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대한 특별법’이 지난달 15일 입법발의 된 것에 대해 크게 반발했다.
원전동맹은 “공론화, 행정위원회 설치는 미래세대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매우 무책임한 행위”라며 “원전인근 지자체에 거주하는 314만 국민들과 미래세대에게 더 이상은 희생을 강요하지 말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순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