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보다 7,105억원 증가<br/>교육결손 회복 등 중점 편성
정부의 세수 여건 개선으로 중앙정부 이전수입인 보통교부금이 6천474억 원, 국고보조금 559억 원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번 본예산의 편성 기본방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교육결손 회복, 미래교육을 위한 교육환경 기반 구축, 학생 안전 강화를 위한 교육안전망 구축 등 학생과 학교현장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 특히, 그동안 초등학교 이상에 대해서만 실시하던 무상급식을 내년부터 유치원까지 기초자치단체와 공동으로 분담해 시행하기로 했다.
내년도 주요 사업은 △기초학습 부진학생 지도 232억 원 △농산어촌 방과후학교 운영 104억 원 △특수학교(급) 방과후학교 지원 68억 원 △학교안전통합시스템구축(Wee프로젝트) 302억 원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교실증축 233억 원 △소규모학교 운영체제 개선 208억 원 △특성화고 지원 198억 원 △마이스터고 운영 지원 130억 원 △학교운영비 지원 4천710억 원 등 학생들의 교육결손 회복을 위해 6천585억 원을 편성했다.
또한 과학교육 지원 64억 원, 소프트웨어 교육 42억 원, 지능형 과학실험실 현대화 78억 원, 학교정보화장비 보급 497억 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1천73억 원, 교과교실제 운영 77억 원, 고교학점제 기반 조성 113억 원 등 미래형 교육을 위해 3천123억 원을 반영했다.
사립유치원 교원 처우 개선 및 운영 지원 등 250억 원을 비롯해 누리과정 지원 및 운영 1천880억 원, 배움터 지킴이 운영 11억 원 △학교(성)폭력 예방 173억 원, 유치원 종일제 운영 47억 원 등 학교 교육환경개선 4천747억 원 등 교육 안전망 구축사업이 1조 31억 원이다.
신규사업으로 학교 양치시설 설치 23억 원, 저소득층 학습 특별지원 18억 원, 메타버스 선도학교 운영 2억 원, 학교 내 작은 미술관 사업 1억 5천만 원 등이다.
임종식 교육감은 “코로나19로 위축된 학교 현장을 일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교육회복과 배려대상별 맞춤형 지원, 교육환경개선 등 학생들의 안전 강화에 필요한 예산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제출한 예산안은 도의회 교육위원회의 심의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3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