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신공항 건설·에너지경제 등<br/>총 33조 10대 지원사업 제안에<br/>의회 “인구·일자리·농산어촌 등<br/>미래 먹거리 대응 전략 있어야”
경북도가 내년 대통령선거 공약사업 대응 등 미래먹거리 발굴노력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북도는 내년 대통령선거 공약사업으로 총 33조3천898억원 규모를 제안했다.
하지만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는 16일 미래전략기획단 행정사무감사에서 내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들의 공약에 반영할 사업 개발에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경북도는 대선공약으로 △신공항 조기 건설 △동해안 에너지 경제 재도약 △차세대 전자산업 혁신밸리 △미래차 부품소재 생태계 대개조 △글로벌 백신바이오캠퍼스 △가속기 첨단신소재 산업화 클러스터 △미래 식량산업 클러스터 △낙동강 르네상스 △격자형 국가 균형발전 교통망 완성 △대구경북 행정통합 등 10개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종합한 경북도의 총 대선 공약 예산은 33조3천898억원 규모이다.
이와 관련해 배진석 의원(기획경제위원장)은 “미래전략기획단이 발굴했다는 공약 10대 과제 내용을 보면 대선 후보들에게 제공하기엔 매우 부족하다”며 “지역이 당면한 인구, 일자리, 농산어촌 분야 등 내용은 보이지도 않는다”고 비판했다.
방유봉 의원은 “대선 후보들이 공약에 대한 내부 검토를 하고 지역 방문 때는 일부를 발표하는 사례도 있는만큼 이에 대응하는 일원화한 자료가 있어야 한다”며 “정책기획관실, 미래전략기획단, 대구경북연구원 등에서 서로 엇갈린 자료를 가지고 우왕좌왕하지 말고 일원화한 자료를 가지고 대응하라”고 주문했다.
이선희 의원은 2030 신경북 전략 프로젝트, 경북 미래전략 포럼, 대구·경북 신공항 연계 지역발전 전략, 도심 항공교통 산업육성 기반구축 전략 등과 관련해 “중앙정부와 동떨어진 도의 전략은 실패하기 쉬운 만큼 중앙정부 용역 결과나 정책 방향을 주시하면서 전략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춘우 의원은 “미래전략기획단은 한번도 주요한 도의 용역 결과물을 해당 상임위인 기획경제위원들에게 제공하거나 의견을 나눈 적이 없다”며 소통부재를 지적했다.
한편, 대구시는 내년 대선과 관련한 40조원 규모의 지역공약 사업을 확정했다. 대구시의 대선 공약 사업은 ‘대한민국 남부권의 글로벌 거점으로 도약’을 비전으로 마련한 5대 분야 16개 사업이다.
대구경북신공항 건설과 관련해 17조4천억 원이다. K-2 군공항의 차질없는 이전 및 건설을 위한 군공항 이전법 개정과 중남부권 경제물류 민간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 중앙고속도로 확장과 대구경북선 철도 건설 등 신공항 연계교통망 구축, 후적지 개발 및 경제권 조성 등을 담고 있다. 이밖에 품격있는 역사문화도시 조성(3개 사업, 3조210억 원)과 미래산업 선도도시건설(5개 사업, 6조6천30억 원), 탄소중립 녹색도시 조성(4개 사업, 6조86억 ). 동서화합·균형발전 분야(3개 사업, 6조8천343억 원) 등이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