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공천기준 관심사로<br/>한기호 사무총장 초안 마련 중
대선 전에 이미 지방선거 로드맵을 마련한 국민의힘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이 대표의 자가격리가 해제되는 대로 구체적인 공천 기준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한기호 사무총장이 지방선거 공천 기준 초안을 만들고 있고, 이를 토대로 향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대표가 내놓은 지방선거 관련 메시지와 당 안팎의 분위기는 당내 경선 쪽에 무게가 실리는 모양새다. 이 대표는 지난 15일 진행한 시도당위원장 회의에서 기초단체장 등의 공천과 관련해 직·간접적으로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대표는 “광역·기초단체장 후보들이 압축되지 않으면 토론을 붙여서라도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뒤에 경선하겠다”고 밝혔다. 토론을 거쳐 후보자 수를 1차 압축한 뒤 경선을 통해 최종 후보를 선택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또 “지금까지 지방선거에서 일부 지역 국회의원이나 원외 당협위원장 의중에 따라 투명하지 못한 공천이 이뤄진 경우가 가끔 있어 당원 사기를 저하하고 국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지적하며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돈 공천과 측근 공천 등의 배제 방침을 밝혔다.
이어 그는 “윤석열 당선인의 인사철학이 실력 있는 사람이면 성별과 연령, 지금까지의 이력과 무관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칙인 만큼 당 공천도 그 철학을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적 명망가나 전문가 등에 대한 배려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측 한 관계자는 “광역단체장은 관례적으로 경선을 할 수밖에 없고, 기초단체장 등은 원칙적으로 경선을 한다는 게 이 대표의 일관된 원칙론”이라며 “특별히 후보 간 지지율 차이가 심한 경우에는 단수공천 등 예외를 둔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와는 별도로 이 대표는 사석에서 당내 경선과 관련, “논의는 해봐야겠지만 당원 중심으로 경선을 하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 일각에서는 중앙당이 염두에 두고 있는 경선 지역은 국민의힘의 절대적 지지기반인 TK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 대선에서 TK지역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표를 몰아줌에 따라 당선에 크게 기여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대선 영향이 미쳐 지역에서 국민의힘 후보들의 당선이 절대 유리할 전망이다. 특히 TK지역에서 과거 공천을 둘러싼 잡음이 잇따랐던 만큼 사전에 사천논란 배제와 후유증 방지책으로 경선 카드를 빼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TK 국회의원들도 경선이 대세임은 부인하지 않고 있다. 윤 당선인이 주장하는 공정과도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실제 일부 의원은 이미 마음에 둔 예비후보에게 경선을 준비하라고 조언했다는 말들이 지역정가를 중심으로 나돌고 있다.
다만 정치권 일각에선 경선을 치를 경우 현역단체장과 기득권 인사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반면 정치 신인에게는 불리한 만큼 이를 어떻게 극복할지가 난제로 꼽힌다.
또한 현역 의원들이 정치 신인이나 청년, 여성 등의 진출이 어렵다는 점과 지역상황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경선 방침에 반대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지역의 한 국회의원은 “중앙당이 결정한 공천 기준이 곧 나오겠지만 종전보다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