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한은 총재지명 엇박자<br/>다른 인사도 의견충돌 예상<br/>文-尹 회동일정 협의도 못해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당선인측의 갈등이 점점 증폭됨에 따라 정권이양작업에 큰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문·윤 회동이 결렬되고 난 뒤 제대로 일정협의가 되고 있지않는데다 신임 한국은행 총재지명 협의여부를 두고 청와대와 윤 당선인측이 엇박자를 보인데 이어 조만간 있을 감사원 감사위원과 선관위원 등 의견충돌이 예견되는 인사가 줄지어 있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24일 양측의 입장이 엇갈리는 ‘임기말 인사권’문제와 관련, 강경한 입장을 거듭 밝혔다. 윤 당선인은 이날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와 인사권 갈등을 어떻게 풀어야 하나’라는 질문을 받고 “원칙적으로 차기 정부와 일해야 할 사람을 마지막에 인사 조치 하는 것은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전날 한국은행 총재를 지명한 것을 두고도 “새 정부와 장기간 일해야 할 사람을…”이라며 “인사가 급한 것도 아닌데, 원론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신·구 권력의 인사권 행사 문제를 집 매매 시 매수인과 매도인의 관계에 비유했다. 윤 당선인은 “당선인은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대금을 다 지불하고 명도만 남아 있는 상태”라며 “매도인에게 아무리 법률적 권한이 있더라도 들어와 살 사람의 입장을 존중해서 본인이 사는 데 필요한 조치는 하지만 집을 고치거나 이런 건 잘 안 하지 않느냐”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이 새 한국은행 총재 후보로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을 지명한 가운데, 인사 과정에서 청와대가 윤 당선인 측과 협의를 거쳤느냐를 두고 진실 공방을 벌이고 있지만 윤 당선인 본인이 직접 ‘퇴임을 앞둔 문 대통령의 양보가 상식’이란 주장을 펼친 셈이어서 양측의 갈등이 증폭되는 분위기다.
윤 당선인측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회동 일정 조율과 관련해 ‘당선인이 직접 판단해달라’고 언급한 데 대해서도 강한 유감의 뜻을 표하며 반발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 당선인의 판단에 마치 문제가 있고, 참모들이 당선인의 판단을 흐리는 것처럼 언급하신 것은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윤 당선인과의 회동 일정 조율과 관련해 “(윤 당선인은) 다른 이들의 말을 듣지 말고 당선인께서 직접 판단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고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문 대통령은 또 “두 사람이 만나 인사하고, 덕담하고, 혹시 참고될 만한 말을 주고받는 데 무슨 협상이 필요한가. 회담을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측의 충돌이 갈수록 격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데는 감사원 감사위원에 대한 인사 등 정권초기 국정운영에 중요한 인사에 대해서도 양측이 서로의 입장차를 줄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감사위원 7명 중 2명이 공석인 상황으로 청와대는 각각 청와대와 윤 당선인측이 각각 한 명씩 지명하자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윤 당선인 측은 ‘문 대통령이 감사위원 인사를 하려는 것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감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게 하려는 알박기’라고 주장하며 두 자리 인선 모두 윤 당선인 측의 의중이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의견조율이 되지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청와대와 윤석열 당선인측이 서로 자신의 입장만을 내세우며 맞서고 있어 청와대의 용산 이전 등을 비롯한 인수위 업무가 차질을 빚으면서 정권이양작업 자체가 대혼란 양상으로 빠져들고있다. /김진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