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 공천 상반된 방침 ‘눈길’
민주당은 청년과 여성 우대 방침을 세웠다. 당 사무총장인 김영진 단장은 24일 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 회의에서 “더 많은 청년과 여성 인재가 민주당 후보로 도전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겠다”고 밝혔다. 김 단장은 “여성과 청년 등 정치신인을 발굴하기 위해 당헌 당규를 정비했고 당원 교육도 충실히 이행해 왔다”며 “능력 있는 일꾼이 뽑힐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 역시 “당이 지방선거에서 이전과 다르게 여성과 청년을 대거 추천해야 한다”며 “지역을 움직이는 위원장들께서 하지 않으면 우리 당의 쇄신은 반의 반쪽도 해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제껏 여성 공천 30%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는데, 인물이 없다고 하기 전에 문을 두드리는 청년과 여성을 다시 한 번 봐 달라”고 덧붙였다.
이와 달리 국민의힘은 여성·청년 공천 할당제를 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준석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공천은 개혁성과 민주성을 근본으로 하려고 한다”며 “제가 젊은 당대표라고 해서 젊은 세대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냐는 인식이 있었는데, 공직을 맡을 충분한 역량이 남녀노소 누구나 공정하게 경쟁시키고 평가함으로써 윤석열 정부에서 추구하는 인사 원칙들을 그대로 준용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젊은 세대, 여성, 장애인 등 소수자에 대한 할당보다는 그분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고 한다”며 능력이 있다면 얼마든지 도전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도 지난 13일 기자회견에서 “(지역안배나 여당할당을) 우선으로 하는 그런 국민통합은 국가 발전에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할당제에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이와 함께 비례대표 공천에서 기초의원, 광역의원을 대상으로 ‘공직 후보자 역량 강화 시험(PPAT)’을 도입하기로 했다. 다만 현역의원 10%, 5년 이내 무소속 출마 15% 감점 규정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어 수정될 여지도 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