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 예정서 내달 초로 연기<br/>4일 한동훈 청문회에 관심집중
더불어민주당이 자료제출 부실을 문제 삼아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미룬데다, 각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 증인 채택문제를 둘러싸고 곳곳에서 신경전을 벌이면서 발생한 일이다. 당초 윤석열 초대 내각 청문회는 4월말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여야의 공방으로 다음달 초로 연기되면서 6·1지방선거를 앞둔 정치권의 유불리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치권은 청문회가 연기되는 표면적 이유로 ‘자료제출 미흡’이라고 하지만, 진짜 이유는 민주당이 한동훈(법무), 정호영(복지), 김인철(교육)장관 후보자 낙마의 지렛대로 삼으려는 전략으로 보고 있다.
28일 국회에 따르면, 다음달 2일 한 총리 후보자 등에 대한 인사 청문회를 시작으로 청문정국의 막이 오른다. 이어 추경호(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박진(외교부), 원희룡(국토교통부), 박보균(문화체육관광부), 한화진(환경부) 장관 후보자까지 총 6명에 대한 청문회가 동시다발로 진행된다.
3일에는 한 총리 후보자에 대한 이틀째 청문회를 비롯해 이종호(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호영(보건복지부), 이상민(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등 총 4명에 대한 청문회가 동시에 진행된다.
4일에는 한동훈(법무부), 이종섭(국방부), 조승환(해양수산부), 이정식(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까지 총 4명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열릴 예정이다. 특히 한동훈 후보자 청문회는 검수완박 이슈와 맞물려 이번 1기 내각 청문회 중 주요 관전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6일에는 김현숙(여성가족부), 정황근(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고 조정하며 청문회 일정을 끌고 간다는 계획이다. 171석의 민주당의 동의 없이는 임명동의안 통과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장관 제청권을 가진 총리가 임명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현 김부겸 총리가 향후 중재자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달 초부터 여의도 정치권에서는 급한대로 김 총리 제청으로 장관을 임명해 새 정부를 출발시켜야 된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다만 김 총리가 국민의힘을 도와 제청권 행사를 해줄지는 설왕설래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국정 공백이 눈앞의 현실이 되면서 김 총리가 중재자 역활을 맡아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잇따랐다.
김 총리측 관계자는 “(김총리가) 국정공백을 방치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한동훈·정호영·김인철 후보를 제외하고 제청해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김상태기자kst@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