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후보자 지명 철회 요구<br/> 정호영·한동훈·원희룡·이상민<br/> 낙마 리스트 올리고 사퇴 압박<br/>“韓 총리 후보자도 국민적 공분”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 문제를 놓고 여야가 정면 충돌하는 양상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자녀 의대 편입학 의혹에 휩싸인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를 ‘낙마 리스트’에 올리고 사퇴를 압박하고 있다. 한 총리후보자 인준 표결을 정호영·한동훈·원희룡·이상민 후보자 낙마의 지렛대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5일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첫 내각에 대해“예견된 역대 최악의 인사참사”라며 윤 당선인에게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이수진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에서“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를 시작으로 윤석열정부 국무위원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반환점을 돌고 있다”며 “의도적인 자료제출 거부와 불성실한 답변, 잡아떼기로 일관하는 국무위원 후보자들의 모습에 국민은 실망을 넘어 분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변인은 한 총리후보자를 향해 “김앤장 20억 상당 고문료의 전관예우 성격을 부정하고 ‘공공외교’로 답변한 한 후보자의 뻔뻔함이 도를 넘었다”면서 “사퇴한 김인철 교육부장관 후보자보다 훨씬 더 큰 국민적 공분을 일으키고 있는 정호영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의 버티기에 국민의 인내심은 한계를 넘어섰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도박도 큰 틀에서 보면 게임’이라는 박진 외교부장관 후보자의 발언은 국민을 아연실색하게 했다”며 “원희룡 국토부장관 후보자의 오등봉 개발사업, 업무추진비, 정치자금법 위반 등 7대 의혹은 청문 대상이 아니라 수사 대상이고, 박보균 문체부장관 후보자는 대한민국 국무위원 후보자인지 일본의 장관 후보자인지 의심스럽다”고 질타했다. 그는 또 “국무위원 인선 기준조차 밝히지 않은 친구 인사, 측근 인사의결과”라며“국민은 윤석열 정부의‘기가찬(기업·가족 찬스)’국무회의를 보고 싶지 않다.결정한 사람이 결단하라”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민주당의 이 같은 압박에 강력하게 반발했다.
윤 당선인 측 핵심관계자는 이날 언론인터뷰를 통해 “김인철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한 상황에서, 정호영 후보자에 이어 한동훈·원희룡·이상민 후보자의 낙마를 요구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