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산림조성 등으로 흡수 제거해 실질 배출량이 제로 상태가 되는 개념이다. 국제사회는 날로 심각해지는 기후변화에 대응코자 2015년 파리협정을 체결하고 지구 평균온도 상승률을 산업화 이전대비 2℃ 아래로 유지키로 뜻을 모았다. 지구 온도가 2℃ 이상 상승하면 폭염, 폭설, 산불 등 인류가 감당할 수 없는 자연재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21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전 지구적으로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 대비 최소 45% 이상 감축해야 하며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가스총회에 참석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연설에서 “인류가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면 궁극적으로 지구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 경고했다. 지금 세계는 탄소저감이나 탄소재활용을 위한 노력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한 나라가 아무리 좋은 과학기술을 가져도 탄소중립을 이루지 못하면 국제사회에서 그 경쟁력을 인정받을 수 없게 된다. 탄소중립은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며 인류의 삶을 존속케 하는 유일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기후문제에 대응하고 에너지산업의 발전을 논의하는 세계가스총회가 대구에서 열리고 있다. 이를 계기로 대구가 탄소중립 실천의 선도도시로 나아갈 수 있다면 도시의 품격은 한층 더 높아질 수 있다. 대구시는 작년 이미 탄소중립 선도도시를 선포한 바 있어 이 문제 실천이 자연스럽다. 대구시는 기후변화의 중요성을 다시 시민에게 알리고 탄소중립 정책을 고도화하는데 앞장서야 한다. 이는 가스총회 개최를 통해 부가적 가치를 더 창출할 뿐 아니라 도시로서 품격도 유지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기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