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與, 초유의 ‘당대표 징계 사태’ 수습 기로

박형남 기자
등록일 2022-07-10 19:57 게재일 2022-07-11 3면
스크랩버튼
오늘 초·재선·중진 선수별 모임<br/>오후엔 의총 열고 총의 모을 예정<br/>권성동 직무대행 체제 추인 주목<br/>李 거취 논의 수면 위 불거질수도<br/>“李, 윤리위 결정 수용해야<br/>  그렇지 않으면 당이 혼란 겪어”
중앙윤리위원회의에 출석해 “성 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해 소명한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지난 8일 국회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의 당원권 6개월 정지 중징계로 후폭풍에 휩싸인 국민의힘이 본격적인 수습 절차에 돌입했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은 11일 초선·재선·중진 등 릴레이 선수별 모임에 이어 오후 의원총회를 열고 이번 사태 수습을 위한 총의를 모을 예정이다. 사상 초유의 당 대표 징계 사태에 따른 직무 정지가 언제부터 적용되는 지에 대한 당헌·당규 해석부터 이견이 발생하면서 이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다. 이 대표 측은 징계 의결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재심 청구를 할 수 있다는 당규를 거론하며 당 대표 직무가 정지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징계 의결에 따른 처분 권한은 당 대표에게 있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권성동 원내대표는 윤리위 결정 직후 이 대표의 직무가 정지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당 사무처가 이 대표의 직무가 정지됐다는 해석을 내놨고, 지난 9일 최고위 간담회에서도 별다른 이견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의원총회에서 권 원내대표의 직무 대행 체제가 사실상 추인 수순을 밟을 지 주목된다. 이와 함께 의총 등에서 이 대표의 거취에 대한 논의가 수면 위로 불거질 수도 있다. 앞서 권 원내대표는 현재 이 대표가 궐위가 아닌 사고 상태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이 대표가 당원권 정지 기간인 6개월이 지난 다음 복귀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둔 셈이다.


지역의 한 의원은 “이 대표 입장에서 비록 억울한 점이 있지만 윤리위 결정을 수용해야 된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당이 큰 혼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권 원내대표가 당분간 직무대행을 맡지만 이 대표에게 대표직이 있고, 복귀 가능성이 있다”며 “김순례 최고위원이 당원권 3개월 정지 후에 다시 최고위원으로 복귀했던 ‘전례’가 있는 만큼, 이와 같이 대처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지역의 한 의원은 “이 대표가 윤리위 징계를 수용할 지, 아니면 불복할 지가 최대 관심사”라며 “이 대표가 불복한다면 윤리위 결정을 수용하라는 목소리가 의원총회에서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이번 사태를 마무리하는 해법으로 이 대표가 정치적 책임 차원에서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이른바 자진사퇴론도 거론되고 있다. 이번 사태가 조기에 일단락되지 않을 경우 당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점에서 사법 절차로 국면이 넘어가며 진통이 더해지기 전 이 대표의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현재로선 이 대표가 순순히 물러날 뜻이 없다는 점에서 대치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대표는 윤리위 징계 결정이 나온 지난 8일 오전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사퇴론을 일축한 데 이어 윤리위 재심 청구·법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럴 경우 이 대표와 지속적으로 마찰을 빚어온 친윤계 그룹을 중심으로 자진사퇴를 유도하기 위한 고립 작전이 본격 가동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 의원은 “이 대표가 당원권 정지 6개월 중징계를 받은 이상 자진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물론 조기전당대회, 임시 전대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당내에서 분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