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주요 현충시설 국가 관리 승격 추진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2-07-14 20:19 게재일 2022-07-15 2면
스크랩버튼
道, ‘독립운동기념관’·‘독도재단’ 통합해 ‘호국재단’ 출범<br/>항일의병기념공원·통일전·다부동전적기념관 등 대상

경북도가 지난 13일 발표한 ‘산하 공공기관 고강도 구조개혁’의 방안에 따라 ‘독립운동기념관’과 ‘독도재단’을 통합해 가칭 ‘경북호국재단’을 출범한다.

14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호국재단은 기존 경북독립운동기념관의 업무영역을 독립에서 나라 사랑의 ‘호국’까지 확장하는 것으로, 국가지원 없이 기초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항일의병기념공원, 통일전, 다부동전적기념관과 같은 지역의 주요 현충시설 등을 관리해 경북을 독립·호국·통일의 메카로 만들기 위한 초석이다.


이에 경북도는 경주 ‘통일전’을 경주시와 협의를 통해 경북도로 이관을 준비하고 있다. 경북도는 통일전을 삼국통일의 호국정신을 기리고 통일이념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 경북의 호국정체성을 확립하고 이어갈 수 있도록 재단을 통해 전문화할 계획이다.


‘다부동전적기념관’도 칠곡군과 경북도로 이관을 협의해 향후 국가 현충시설 승격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다부동전적기념관’은 전쟁기념관(서울소재)과 유엔군초전기념관(오산소재)과는 달리 6·25 전쟁 당시 낙동강 최후 방어선을 사수한 곳으로 지역의 전투현장에 존재하는 유일한 전쟁기념관으로 국가차원에서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시설이다.


앞서 경북도는 지난 1월부터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을 경북도로 이관해 운영 중에 있다. 항일의병기념공원은 전국 의병 유공 선열 2천690명의 위패가 봉안돼 있어 의병활동이 독립운동으로 이어지는 국난극복의 나라정신을 보여주는 대표시설로 향후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첫 단계로 경북도와 경북호국재단, 경주시, 청송군, 칠곡군은 시설을 관리 운영하고 향후 국가 관리 시설로의 승격을 위해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경북은 독립운동의 발상지로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하고, 6·25전쟁 최대 격전지로 호국보훈의 역사적 숨결이 살아있는 지역”이라며 “이번 호국재단 설립을 통해 독립과 국가수호의 정신을 나라사랑 정신으로 승화할 수 있도록 경북이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