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큰 폭으로 낮춰야 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국내 코로나19 3차 확산 여파로 당초 -0.2%로 전망된 경제성장률을 큰 폭으로 낮춰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은은 지난 5월 경제전망에서 국내 경제성장률을 -0.2%로 발표한 바 있다.
이 전망치는 코로나19 사태가 2분기를 정점으로 진정되는 것을 기반으로 한 수치다.
특히, 이 총재는 업무 보고에 앞서 인사말을 통해 “국내 경제가 크게 악화했다가 수출·소비 부진이 완화되면서 다소 개선되는 조짐을 보였지만,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향후 경제 흐름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0%대 초중반 수준에서 등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세계 경제에 대해서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크게 위축됐다가 5월 이후 경제활동이 점차 재개되면서 부진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향후 세계 경제는 각국의 경제활동 재개 양상에 따라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완만하게 회복되겠지만,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한은은 오는 27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시장에서는 최악의 경우 -1.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 총재는 “앞으로도 한은은 국내 경제의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통화정책 완화적으로 운용해 나갈 계획”이라며 “코로나19 전개 상황이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책대응의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시장으로의 자금쏠림 등의 변화도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