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 대통령 두 입장… “의료계와 협의 가능하다”면서도 “이해하기 어렵다”

김진호기자
등록일 2020-08-31 20:15 게재일 2020-09-01 1면
스크랩버튼
문재인 대통령은 31일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한 의료계가 휴진 등 집단행동을 계속하는 것과 관련해 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되면 의료계와 협의가 가능하다며 우선 의료현장으로 복귀해달라는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된 후 정부가 약속한 협의체와 국회가 제안한 협의기구 등을 통해 의료 서비스의 지역 불균형 해소, 필수의료 강화, 공공의료 확충뿐 아니라 의료계가 제기하는 문제를 협의할 수 있다”면서 “의사들이 의료 현장으로 돌아오는데 그 이상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의사가 있어야 할 곳은 환자 곁이며,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번째로 생각하겠노라는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잊지 말아야 한다”면서 “하루속히 업무에 복귀해 환자들을 돌보고 국민 불안을 종식시키는 의료계의 대승적 결단을 기대한다”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코로나19 재확산세와 관련, “하루에 400명대까지 늘었던 국내 확진자 수가 4일간 200∼300명대로 줄었다”며 “그러나 아직 안정세로 가는 긍정적 신호로 보기는 이르다는 게 방역당국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검진 절차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일부터 어제까지 발생한 코로나19 관련 사망자 17명 중 5명은 사후 확진자다. 확인 후 1일 이내 사망자도 4명”이라며 “확진자 중 고령자 비율이 매우 높은 데다 검진이 늦어지는 탓”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원할 경우 익명검사도 허용하는 만큼 신속한 검사에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진호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