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강민구·김혜정·김동식·이진련·김성태 시의원은 지난 13일 성명을 내고, 대구 국회의원 12명과 시장과 구청장, 군수, 광역의원, 기초의원의 전수조사를 주장했다. 이들은 “LH 직원들이 사전정보를 이용해 3기 신도시에 투기를 했다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면서 “대구에서도 LH에서 벌이고 있는 5개 지구(연호지구, 연경지구, 도남지구, 율하지구, 테크노폴리지)사업이 있다. 여기에 대해서도 명명백백 의혹을 밝혀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이 같이 말했다.
민주당 소속 대구시의원은 또 “LH 대구·경북본부는 최근 5년전 퇴직한 분을 포함해서 조사를 해야 하고 대구시는 시청을 포함한 구·군 공무원 1만2천500명 가운데 개발과 관련되는 시설직(건설, 건축, 토목, 지적)과 녹지직 등은 특별히 심도 있는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수성의료지구, 대구국가산단, 안심뉴타운, 금호워터플러스, 식품산업클러스트, 복현주거환경 개선사업, 대구대공원 민간공원 조성사업 등을 예로 들었다. 이들은 “마침 대구시에서도 자체조사를 시작한다니 다행이지만, 그 대상이 방대해서 ‘수박 겉핡기식’이 될까 우려가 된다”면서 “조사를 통해 의심이 드러날 경우 즉각 경찰에 고발을 하고, 내부적으로는 일벌백계와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최대수위의 징계를 해야 한다. 자긍심 높은 대구시 공직자의 위상을 세울 수 있는 새로운 마음가짐, 새로운 계기로 삼길 간곡히 바란다”고 했다.
정의당 대구시당도 15일 대구시청을 찾아 ‘부동산 투기의혹 관련 대구시 1차 합동조사대상 확대 촉구서한’을 전달한다.
정의당 한민정 대구시당위원장은 “누가 자기 이름으로 땅을 사겠느냐”며 “1차 조사대상에 지방자치단체장과 최소한 4급 이상의 고위 공직자에 대해서는 그 가족(배우자 및 직계존비속)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대구시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LH 직원의 부동산 투기 사태가 전 국민의 공분(公憤)을 사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가 선제적으로 시 본청, 구·군 소속 공무원과 대구도시공사 임직원 등 전체 약 1만5천 명 대상 관내 개발 사업에 대한 부동산 투기여부를 전수 조사한다고 밝혔다”며 “대구시의 결정을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했다.
이어 “전수조사 대상자들인 대구시 공무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조사 참여를 당부한다”며 “무엇보다 이번 대구시의 전수조사가 성역 없이 철저히 진행돼 공직사회를 바라보는 대구 시민들의 신뢰를 제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공직자들이 부동산 투기의혹 등 각종 개발 이권에 원천적으로 개입할 수 없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국민의힘도 모든 노력을 할 것을 약속한다”고 강조했다.
/김영태·박순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