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AZ백신, 20여 개국서 접종 중단 … 정은경 “맞아도 된다”

박순원기자
등록일 2021-03-17 20:17 게재일 2021-03-18 1면
스크랩버튼
“혈전과의 연관성 확인 안 돼<br/>  안전성 계속 모니터링할 것”

정부가 최근 유럽에서 안전성 논란이 불거진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해도 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을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최근 오스트리아 등에서는 특정 제조번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뒤 혈전이 발생해 중증 이상반응을 보이거나 사망에 이르는 사례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해당 백신의 동일 제조번호나 전체 접종을 중단한 나라는 지난 16일 기준 최소 21개국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에서 생산돼 유럽에서 만든 백신은 도입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7일 오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맞아도 된다. 질병관리청 직원도 모두 접종하고 있다”며 “안전성에 대해선 모니터링하겠다”고 답했다. 정 청장은 “아스트라제네카와 혈전 간 연관성에 대해 유럽이나 WHO(세계보건기구)도 근거가 확인이 안 되고 있다”며 “유럽에서 조사 결과가 나오면 의견수렴을 해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와 관련해서도 정 청장은 “현재 16명의 사망 사례가 신고돼 불안이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각 분야의 의료전문가들로 구성한 신속대응팀, 피해조사반에서 과학적으로 소상히 설명드리겠다”고 말했다. 또 정 청장은 “기저질환별로 접종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상세한 예진 지침을 만들어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에서 1차 예방접종을 마친 접종자는 누적 62만1천734명이다. 백신 종류별 1차 접종을 완료한 인원은 아스트라제네카 58만7천996명, 화이자 3만3천738명이다. 대구와 경북의 백신 접종자 수도 각각 3만12명과 3만4천227명으로 집계됐다. 대구는 1차 접종 대상자의 72.7%이며, 경북은 1차 접종 대상자의 78.7%다.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 신고된 사례는 전날보다 252건이 추가돼 누적 9천3건이다.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일반 이상반응은 8천898건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박순원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