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LH특검 줄다리기…여 “2013년부터” 야 “청와대 포함”

김진호기자
등록일 2021-03-21 19:23 게재일 2021-03-22 3면
스크랩버튼

여야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의혹 등 부동산 투기 특별검사 도입을 위한 실무 협상에 들어간다.

21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에 따르면, 양당 원내지도부는 특검법안 등의 구체적 내용을 조율할 ‘3+3’ 협의체를 오는 23일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앞서 여야는 특검은 물론 선출직 전수조사와 국정조사 시행 등 큰틀에서의 합의를 이뤘다.


민주당은 3기 신도시는 물론 그 외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으로 조사 대상을 넓혀 ‘부동산 적폐’를 뿌리뽑자는 입장이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개발지구로 지정되기 5년 전까지는 들여다봐야 한다”며 “대체로 2013년부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이어진 개발정책 추진 과정의 문제점까지 함께 짚어보자는 주장이다. 또 민주당은 국민의힘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의 연루 의혹이 불거진 엘시티 개발도 특검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국민의힘은 청와대도 특검 및 국조 대상으로 포함하자는 강수를 던지며 정면대응하고 있다. 특검이 수사를 진행할 기간을 최소 1년은 부여해야 한다는 제안도 내놨다. 지도부 핵심 인사는 “문재인 정부의 공정성이 무너진 대표적 사례라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발본색원해야 한다”며 “매머드급 특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 같은 조건이 수용되면 엘시티 특검도 못 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 특별검사 추천 방식을 놓고도 여야간 의견이 엇갈린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수사를 공정하게 진행할 인사를 합의 추천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국민의힘 측에선 “내곡동 사저 특검, 최순실 특검은 야당인 민주당에 특검 추천권을 줬다. 이번에도 야당에 결정권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야 간 현격한 입장차로 특검 협상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비교적 단순한 국회의원 등 선출직 전수조사부터 시작해 특검과 국조까지 단계적으로 타결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