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정 총리 “초광역협력사업 적극 추진” 대구경북행정통합 논의 탄력받을 듯

박순원기자
등록일 2021-03-23 20:19 게재일 2021-03-24 2면
스크랩버튼
국가균형발전 선언 17주년 기념식서 “지원방안·실행력 검토” 
지역 대학도 지원… 지역 공동체 핵심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경북 북부권역 “지역 불균형·지방소멸 가속화” 통합 반대 여전
대구와 경북의 행정통합 논의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청년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대구시와 경북도의 노력도 더해진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7일 현재 논의되고 있는 대구·경북 행정통합과 같은 초광역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23일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세종시에서 열린 국가균형발전 선언 17주년 기념식에서 “대한민국의 발전축을 새롭게 하는 초광역 협력사업을 추진하겠다”며 “정부는 초광역 협력 지원방안을 검토하고, 실행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특히, 정 총리는 “지역을 살리지 않으면 국가 존립이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제 지역을 살리는 것은 국가균형 발전을 넘어 국가 존립의 근거가 돼가고 있다”며 “정부는 골고루 잘 사는 대한민국을 향해 보다 과감하고 적극적으로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러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정 총리는 지역이 주도하는 창의적 지역균형뉴딜을 제안했다. 정 총리는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균형뉴딜 추가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지원하겠다”며 “지역균형뉴딜이 국가균형발전정책과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범정부 정책사업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균형뉴딜 지원을 위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와 적극 협의하겠다”며 “나아가 지방이 더 큰 자율성과 책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재정분권 강화에도 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기업이 투자하고 싶고, 청년이 일하고 싶은 지역을 만들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정 총리는 “정부는 산업, 일자리, 인재양성의 선순환을 유도하고 탄소중립 등 산업지형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며 “광역도시에 도심융합특구를 지정하는 등 주거·일자리·생활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지역 대학에 대한 지원도 약속했다. 정 총리는 “최근 정부는 ‘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했다”며 “이를 통해, 지역의 대학이 지역 공동체의 핵심 주체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대구시와 경북도, 지역대학은 청년 인구 유출로 경쟁력을 잃은 지역을 되살리기 위해 손을 잡았다. 대학이 지역형 인재를 육성하고, 지자체는 인재를 지역기업이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다만, 오는 5월 정부 공모에 선정되는 것이 우선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우리 지역이 공모에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공모 이후, 우리 지역에 맞게 우리가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인재가 유출되지 않고 또 다른 지역에 있는 인재들이 우리 지역에 올 수 있는 일자리를 4차산업 혁명시대에 맞는 그런 일자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 북부권역을 중심으로 행정통합에 대한 반대는 여전하다. 여기에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는 추진 동력을 잃어버렸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은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우리 지역으로 이전한 경북도청과 신도시 조성이 아직 미완성인 상황에서 행정통합을 추진하는 것은 지역 불균형과 지방 소멸을 가속 시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