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계·친박계·친이계 등 거론 여론조사 배후설까지 ‘막장’ 싸움
포문은 나경원 전 의원이 열었다. 나 전 의원은 26일 이준석 전 최고위원과 김웅 의원을 유승민 대리인으로 규정하고 통합의 걸림돌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특정 계파의 당대표가 뽑히면 윤석열, 안철수가 과연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참여할지 의문”이라고 주장한 뒤 “저는 계파 없는 정치를 해왔고, 지금도 어떤 계파 논리나 세력과도 얽혀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즉각 반박하며 날을 세웠다. 이 전 최고위원은 페이스북에 “저도 나 후보의 말씀에 공감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구 친박(근혜)계의 전폭 지원을 받고 있는 나경원 후보가 대표가 되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상당히 주저할 것 같다”고 반박했다. 김웅 의원도 “존재하지도 않는 계파를 꺼내 후배들을 공격하고서 용광로 정치가 가능하겠나”라며 “계파정치 주장은 흉가에서 유령을 봤다는 주장과 같다. 두려움이 만든 허상”이라고 맞받아쳤다.
주호영(대구 수성갑) 의원은 친이계 논란에 휘말렸다. 친이·비박계가 중심인 국민통합연대가 지난 25일 지역 조직에 ‘긴급 중앙임원 회의 결과’라는 문건을 내려보냈다. 문건에는 ‘당 대표는 주호영 의원, 최고위원은 조해진·배현진 의원과 정미경 전 의원’ 등이 당선되도록 협조해달라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김웅 의원은 “계파 프레임에 걸려 악전고투 했는데, 정작 계파 정치는 따로 있었다”고 비판했고, 국민통합연대는 해당 문건이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박종희 주호영 후보 선거대책본부장도 성명을 통해 “(우리와) 사전에 논의한 바 없다”며 “‘계파정치’라는 공격은 터무니없다”고 반박했다.
주 의원은 이 전 최고위원이 1위로 오른 여론조사를 놓고 배후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주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누군가가 정확하지 않은 조사 결과를 너무 많이 생산해 퍼뜨리는 데 의도가 있지 않나 의혹이 있다”면서 “더불어민주당 대표 경선 당시 여론조사가 불과 3차례뿐이었는데,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는 벌써 11차례나 여론조사가 공표돼 이상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 전 최고위원은 “저는 세대 교체하라는 국민의 의도가 읽힌다”고 반격했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