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심의위원회서 높은 평가<br/>내달초 국무총리 주재 최종 결정<br/>경북 3년째 신규 특구 지정 눈앞
경북도 내 물류산업의 새로운 상생형 모델이 만들어진다.
경북도는 24일 서울 중앙우체국 대회의실에서 열린 중기부 장관 주재 제8차 규제자유특구 심의위원회에서 ‘경북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안건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번 특구 지정에는 전국 14개 시·도에서 20개가 넘게 신청했지만, 4개 특구만이 최종 지정을 앞두고 있다. 특히, 중기부에서 Top-down방식으로 진행된 2개를 제외하면 실제 지자체에서 자체 기획해 선정된 특구는 경북을 포함 2개뿐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김천시 구도심과 혁신도시 일원의 ‘경북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에는 올해 8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총사업비 280억원이 투입된다. 11개의 첨단물류 혁신기업이 참여해 도심지 노외주차장을 이용한 주차장 겸용 스마트 생활물류거점이 구축된다. 중소상공인 전용 풀필먼트 물류서비스(AI연동 재고관리, 온라인 주문연동, 분류, 포장, 반품 등 물류일괄대행서비스)와 중소상공인 제품 및 기존 택배물품의 이종 물류를 통합 배송하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또 도심 4㎞ 이내 구간 물류배송에 쓰이는 1t 디젤 트럭을 3륜형 전기자전거로 대체한다.
경북도의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는 오는 7월초 열리는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 최종 심의 의결된다. 최종 의결을 거쳐 올해 김천 스마트 그린물류가 지정 완료되면, 경북은 2019년 포항 차세대 배터리와 2020년 안동 산업용 헴프에 이어 3년 연속으로 신규 특구에 지정받게 된다.이철우 도지사는 “경북에서 규제는 더는 제약이 아니라, 미래를 여는 기회의 창이 될 것”이라며 “그간 경북 규제자유특구 보여준 성과들을 봤을 때 4차 산업시대에 맞는 혁신산업을 육성해 고성장기업들을 유치하고 그들이 자연스럽게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지방소멸을 막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고 밝혔다. /피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