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지사, 현장서 의견 청취<br/>“애로 해결·기업유치 나서기로”
경북도는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경북도-포항시-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기업으로 이어지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 및 관련 기업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하대성 경제부지사는 16일 포항에 소재한 에코프로CNG,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 및 피엠그로우 등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현장을 잇달아 둘러보고, 관련 기업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현장방문은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2019년 7월)’지정 이후 GS건설, 에코프로, 포스코케미칼 등 대규모 기업투자가 이어지며, 포항이 배터리 선도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는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확인하고, 경북도의 이차전지산업 클러스터 조성 구상을 관련 기업들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북도는 그동안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의 후속으로 유치한 환경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21~23년, 총사업비 487억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센터(22~25년, 총사업비 310억원) 등 중앙정부 정책사업과 연계해 포항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의 전초기지로 육성하는데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을 역설했다. 또한, 포항은 녹색융합클러스터법 시행(21.12월)에 따라올해 상반기 중에 환경부로부터 녹색융합클러스터로 지정이 예정돼 있다. 녹색융합클러스터로 지정되면 국가와 지자체는 입주기업에 실증화 시설의 사용료, 지방세 감면 등 다양한 지원이 가능하게 돼 배터리 관련 기업의 유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하대성 경제부지사는 “포항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가 배터리 리사이클링 인프라 및 기업유치의 초석이 됐다”며 “향후 차세대 이차전지 분야 등 중앙정부의 각종 정책사업 유치에 힘써, 포항이 K-배터리를 이끌 국가대표 도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