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대응 긴급 TF 실무회의<br/>대체수입 경로 지원 등 모색
경북도와 대구시는 러시아에 대한 서방자금 조달과 국가채무에 대한 포괄적 제한 등 미국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발표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시·도는 23일 ‘대러시아 경제제재 공동대응 긴급 TF 실무회의’를 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미국의 대러시아 경제제재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향을 논의하고,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완화를 위한 대책을 협의했다.
또한, 향후 국제정세의 긴급한 변화에 따른 수급 차질에 대비해 산업계와 상시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공급망 애로사항에 대한 상시접수를 위한 창구 일원화, 대체수입 경로 발굴지원을 위한 해외시장정보조사 지원 강화, 수입선 전환비용 등에 대한 공동 지원방안도 모색했다.
이 밖에도 국가·산업·핵심품목별 분석, 정부의 조기경보시스템 운영과 관련 지역기업에 실시간 통보 등 지역 핵심이슈에 대해서도 함께 정책건의에 협조하기로 했다.
이영석 일자리경제실장은 “러시아는 전세계 에너지 및 원자재의 중요 공급처로 경제제재 발생시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높다”며 “유관기관과의 공조체계를 시스템화해 지역 수출기업들이 안정적으로 교역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무역협회는 지역에서 러시아로 수출하고 있는 자동차부품, 승용차 등의 수출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 전망했다. 또 경제제재로 인해 수출 주력품목인 철강, IT제품의 러시아산 원부자재 수입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생산원가 상승 및 생산지연 등 수출차질도 예상했다.
한편,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반군 공화국 2곳의 독립을 승인하고 평화유지군을 파견하기로 결정하며 사실상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선포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2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됐다고 규정하고 러시아에 대한 금융 등 경제제재를 선언했다. 현재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우방국도 일제히 대러 제재에 동참하며 세계 경제가 큰 위기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