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순풍 부는 울릉 하늘길, 15% 열렸다

이창훈기자
등록일 2022-03-03 20:17 게재일 2022-03-04 2면
스크랩버튼
  道, 3일동안 건설 추진상황 점검<br/>  올해 목표 공정률 30% 향해 순항<br/>“지역 특색 담은 공간 조성” 기대
경북 울릉공항의 공정률이 15%정도 보이며 개항을 위해 순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공항 개항 시기는 2025년이다.

경북도는 2일부터 3일간 울릉공항 건설사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더불어 울릉도 통합교통·관광서비스 도입과 관련해 울릉군과 협의하고, 개항 후 공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논의했다.


울릉공항은 울릉읍 사동리와 남양리 일원에 50인승 이하 소형항공기가 취항하는 공항으로, 총사업비 6천904억 원을 투입해 1천200m의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계류장 등이 조성된다.


공항건설을 위해 경북도와 울릉군은 울릉도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관광자원 개발 가능성을 강조하며, 1981년부터 정부를 끈질기게 설득해 시작하게 됐다. 이후 2013년 예비타당성 조사 완료, 2017년 기본설계, 2019년 12월 대림산업컨소시엄으로 실시설계적격자 선정 후 실시설계를 거쳐 2020년 7월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2020년 11월 27일 착공식을 가지고 현재 약 1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올해 공정률 30%를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또 한국공항공사가 현재 설계 중인 울릉공항 여객터미널은 울릉도의 지형과 해안선을 닮은 산장 분위기의 특색 있는 공간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경북도는 울릉공항이 100만 울릉관광시대를 이끌 관관전용 공항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국토부 및 한국공항공사 등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안전한 이착륙과 결항률을 줄이기 위한 최첨단 공항운영시스템을 구축하고, 관광객 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해 내국인이 이용 가능한 면세점 설치를 강구 중이다.


또 울릉도 관광에 필요한 숙박과 항공·크루즈·택시·버스 등 연계 교통수단의 예약부터 결제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처리할 수 있는 통합교통·관광서비스 구축도 검토하고 있다.


다양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중장기적 과제로 인근 국가에 소형항공기가 운항 가능한 단거리 국제노선 개설도 추진한다. 더불어 지역항공사 설립 타당성 용역도 올해 시행할 방침이다.


박찬우 경북도 통합신공항추진단장은 “울릉공항이 개항되면 서울에서 7~8시간 이상 걸리던 이동시간이 1시간 내로 단축돼 지역 주민의 교통서비스 향상은 물론 울릉도 관광의 새 지평이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