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늦은 회동… 용산 이전 등 현안 해소 여부 ‘주목’

박형남기자
등록일 2022-03-27 20:50 게재일 2022-03-28 3면
스크랩버튼
文•尹, 지속적 갈등 부담 커져<br/>정국 수습 중대 기회 전망
장제원 20대 대통령당선인 비서실장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로 들어가다 이날 오전 발표된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의 회동에 관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회동을 하기로 하면서 꼬인 정국의 실타래를 풀 수 있을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은 당초 16일 회동을 예정했다가 당일 오전 전격 취소한 바 있다. 청와대가 공공기관장 인사권 문제를 비롯해 윤 당선인의 핵심 공약인 용산 집무실 이전 계획에 제동을 걸면서 신·구 권력이 정면 충돌했기 때문이다. 일련의 과정을 고려하면 이번 회동은 양측 관계를 정상화하고 정국을 수습해 나갈 중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윤 당선인은 선거 기간 내내 통합을 강조해왔다. 정권 이양 과정에서 문 대통령과 지속적 갈등을 노출하면 임기 초 국정 운영 동력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여소야대가 될 국회 상황도 무시하기 어렵다. 이런 갈등에도 윤 당선인 측이 회동을 성사시킨 것은 협치의 동력을 다잡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이 회동 세부 의제에 대해 “허심탄회한 대화”라는 말만 강조하며 말을 아낀 것도 회동 전 불협화음을 막기 위한 차원이다.


다만 회동이 성사됐다고 해서 정국 수습의 물꼬가 트였다고 말하기는 이르다. 윤 당선인으로서는 용산 집무실 이전 문제와 관련, 문 대통령으로부터 진전된 입장을 이끌어내야 한다. 국무회의 의결이 필요한 예비비 집행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임시 관저 거주 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인사권 뇌관으로 떠오른 김사원 감사위원 선임 문제 등 임기말 알박기 인사 논란 전반에 대한 양측 간 신경전이 이어질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이명박 전 대통령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 사면, 2차 추경 조기 추진 등 복잡한 고차방정식을 풀어내야 한다. 이에 따라 윤 당선인이 문 대통령의 전향적 입장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이와 관련, 정치권 한 관계자는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물꼬를 튼다 해도 각종 현안을 둘러싼 양측의 이해관계가 엇갈린다”며 “윤 당선인이 소기의 목적을 거둘 지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다”고 전망했다.


다만 문 대통령이 윤 당선인의 요청 사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시 구 권력 측에 ‘발목잡기 프레임’이 덧씌워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빈손으로 돌아오더라도 윤 당선인으로선 큰 손해가 아니라는 전망도 나온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