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투톱, 선거 임박 갈등에<br/> 당내 후보들 잇따라 작심 비판<br/>“중앙당 최근 추태에 부끄러워”<br/> 일각서 대오 정비 목소리 커져
6·1 지방선거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반성과 혁신’의 프레임에 갇히는 모습이다.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의 회견 내용과 형식을 두고 윤호중 공동비대위원장과의 갈등 양상이 도를 넘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다. 민주당으로선 당장 지방선거에 미칠 악영향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당 지도부가 엇박자를 내는 행태가 선거 현장을 뛰는 후보들의 전투 의지를 뺏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김관영 전북지사 후보,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 김영록 전남지사 후보 등 호남 광역단체장 후보 3명은 현재 전개되고 있는 지방선거 상황에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긴급성명문을 통해 “대선 패배의 아픔이 가장 깊지만, 민주당이 쇄신하고 다시 국가와 민생의 중심과 미래가 되길 가장 절실히 바라는 곳 또한 호남이다”며 “민주당은 스스로의 잘못엔 추상같이 엄격하며, 상대의 잘못은 철저히 비판해 시정하는 강한 도덕적 리더십을 재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양문석 경상남도지사 후보도 중앙당 지원유세를 거부하며 당 지도부를 작심 비판했다. 지역이 험난한 여건 속에서 선거운동을 치르고 있는데도 중앙당은 내부갈등 등에 빠져 여론을 더 악화하고 있다는 이유다. 양 후보는 “서울 유명 정치인의 방문을 환영하지 않고, 경남은 경남에서 일어서야 한다. 민주당 중앙당의 최근 추태를 보면 부끄럽다. 경남지역 후보들은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중앙당의 지금 형태를 규탄·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싸늘한 민주당에 대한 시선을 견뎌내겠다”고 직격했다.
당이 사분오열할 것이 아니라 눈앞에 닥친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대오를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이러다 (선거 후보들이) 다 죽게 생겼다”며 “당내에서 논쟁만 벌이는 통에 현장에서는 지도부에 전략이 있느냐는 아우성이 나온다”고 전했다. 지방선거마저 패하면 정국 주도권을 고스란히 여권에 넘겨주게 된다는 위기의식과 일맥상통한다.
이재명계의 좌장인 정성호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국민이 민주당에 조금이라도 기대감을 갖게 하려면 더 겸손하게 머리 숙이고, 더 단합하고, 더 분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당내 위기감이 고조되자 국회의원 보궐선거는 물론 지방선거 전체의 결과에 정치적 명운이 걸린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은 ‘박지현발’내홍이 미칠 영향력에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 이 위원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민주당 내부 문제가 심각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이 직접 후폭풍을 정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이지만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20일 만에 치러지는 선거인데다 한미 정상회담 등 외교 이벤트가 있어 야당에 불리한 구도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김상태기자kst@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