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연말까지 기간 연장 <br/>법정 허용 최대한도까지 확대<br/>대중교통비 소득공제율도 2배↑<br/>저소득가구 에너지 바우처 시행
정부가 연말까지 유류세 인하 폭을 37%로 확대하고 하반기 대중교통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을 80%로 지금보다 두배 높이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첫 비상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고유가에 따른 서민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한 조치를 긴급하게 시행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추 부총리는 “유류세 인하 폭을 7월부터 연말까지 법정 허용된 최대한도인 37%까지 확대해 석유류 판매가격 인하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30%까지 적용된 휘발유·경유·LPG부탄 유류세를 37%까지 내리면 유류세는 ℓ당 516원으로 57원 추가로 인하될 전망이다.
추 부총리는 또 “고유가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촉진 및 서민부담 경감을 위해 하반기 대중교통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을 현행 40%에서 80%로 두 배 높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화물·운송업계의 유류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경유 유가연동보조금 지원 기준단가를 ℓ당 1천750원에서 1천700원으로 50원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경유 유가보조금은 기준가격을 넘어서는 경유 가격의 절반을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경유 평균 가격은 ℓ당 2천100원까지 치솟았다.
기준 단가가 ℓ당 1천750원일 때 경유 보조금은 ℓ당 175원 가량이다.
기준 단가가 ℓ당 1천700원으로 내려가면 보조금은 200원으로 25원 정도 늘어난다.
추 부총리는 “국내선 항공유에 대해서는 할당관세를 적용해 현재 수입관세 3%를 0%로 인하함으로써 국내선 운임의 인상 압력을 완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농축산물과 필수 식품에 대해선 “가격상승 품목 중심으로 매일 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비축물자 방출·긴급수입 등 수급관리와 가격 할인 등을 통해 적기 대응해 시장을 안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취약계층 맞춤 대책으로는 227만 저소득층 가구에 4인 가구 최대 100만원 긴급생활지원금을 24일부터 지급하고, 118만 저소득 가구에는 다음달 1일부터 에너지 바우처를 시행하겠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지금과 같은 엄중한 상황에서 경제팀은 한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부처별 책임 아래 소관 분야 중점품목에 대한 가격·수급 동향을 일일 점검하고 불안 조짐이 포착되면 즉시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앞으로도 물가 안정에 즉각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과제들은 계속해서 추가 발굴하고 신속하게 집행해 민생의 어려움을 덜어드리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