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리스크 공세 펼쳐
더불어민주당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8·28 전당대회 컷오프 경선이 보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을 중심으로 이재명 의원의 사법 리스크에 대한 공세를 펼치고 있다. 이 의원의 각종 의혹과 관련한 수사를 두고 이 의원 측과 비명계 간 대결 구도가 형성되면서 전대 기간 동안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어대명’(어차피 당 대표는 이재명) 구도를 깨야하는 97그룹(90년대 학번·70년대생) 주자들은 이 의원의 당권 장악 시 당이 떠안을 부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이재명 불가론을 거론하고 있다.
당 대표에 도전장을 낸 민주당 강병원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이 민생을 챙기는 정당으로 인정받아야 할 때 사법 리스크가 발목을 잡지 않아야 한다”며 이 의원을 견제했다. 박용진 의원도 “(이 의원의 출마가) 사법 리스크에 대한 ‘방탄용’이라는 비판적 시선이 있다는 것을 (이 의원도) 알 것”이라고 밝혔다. 야권을 중심으로 사정정국이 조성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 의원이 전면에 나설 경우 당의 역량이 민생위기 대응에 집중하지 못하고 여권에 끌려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비명계에서는 이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사정정국이 조성됐을 때 전략적으로 대응이 쉽지 않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민주당 한 의원은 “당 대표가 공격을 받는 상황을 방치할 수 없다”면서도 “적극적으로 엄호하면 각종 의혹을 막아내기 위해 당 전체가 방탄 역할을 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비명계의 이 같은 우려에 친명계는 이 의원을 향한 흡집내기에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이 의원은 방탄용이라고 비난했던 국민의힘을 향해 “물도 안 든 물총으로 협박하고 ‘방탄’ 운운한다”며 “빈 총으로 겁주는 저 집단에 굴복하면 되겠나”라고 말한 바 있다. 사법 리스크를 우려하는 여론은 실체가 없는 의혹을 이용한 정치적 공세라는 얘기다. 이와 관련, 최고위원 후보인 정청래 의원은 “강력한 리더십에는 이 의원이 적합하다”며 “허상을 갖고 리스크가 있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했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