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수산업 지키기 대책 마련<br/>유가 상승 부담 완화 ‘28억’ 우선<br/>수산 정책 자금 금리 인상 자제<br/>불법 해루질 감시 ‘지킴이’ 사업
경북도는 유가 상승 및 금리 인상 등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채산성이 크게 악화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어업인의 경영안정을 위해 수산분야 경제위기 극복 대책을 추진한다.
26일 경북도에 따르면 급격한 유류비 상승으로 애로를 겪고 있는 어선어업인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유류비(면세유) 긴급 지원금 28억 원을 예비비에서 우선 지원한다.
또 유가상승 등으로 인해 급등하는 수산물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추경예산에 3억7천600만 원의 사업비를 편성, 일정액 이상의 수산물을 구매할 시 전통시장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수산물 상생할인 쿠폰 행사도 진행한다.
또한, 총 2천527건에 868억 원에 달하는 수산정책자금의 금리가 6개월 전에 비해 0.48% 인상되자 도와 수협은 추가 인상을 최대한 자제키로 했다. 특히, 경북도는 이러한 금리인상이 지속될 시 2023년도 본예산에 이자보전 분을 반영해 편성할 방침이다.
마을어장 내 스킨스쿠버 등 해양레저 마니아들의 불법 해루질(야간 어패류 채취) 감시를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수산자원 지킴이 사업’도 벌인다.
경북도는 올해 시범적으로 두 개 어촌계 당 한 명씩 감시 인력을 투입해 해경, 수협 등과 연계해 활동을 펼치고, 이후 효과가 좋으면 확대할 방침이다.
코로나19로 위축된 지역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수산물 시식행사, 온라인 광고 등 유통분야 지원도 강화한다. 이 밖에도 해녀 장비 지원, 외국인 어선원 복지시설 건립, 양식장 기자재 공급, 공동작업장 설치, 고수온 피해 지원비 등도 확대할 계획이다.
경기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산물 가공기업에는 가공설비 보조금을 확대하고 규격용기, 수출용 포장재,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규격인증 획득 소요경비 지원도 늘린다.
경북도는 이와는 별도로 어촌인구 유입을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으로 유휴어항 해양레저항 개발과 해양문화 기반 워케이션(Worcation) 빌리지 조성 사업도 올해 처음 추진키로 하고 추경예산에 특별히 편성했다.
김성학 해양수산국장은 “경기침체로 수산업도 큰 타격을 받고 있어 지방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긴급지원책을 마련했다”며 “지속 가능한 수산업, 다시 살아나는 어촌을 만들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