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는 1946년 자신의 저서 ‘유리알 유희(Das Glasperlenspiel)’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작중 배경인 ‘카스틸리안(Csastalian)’이라는 가상의 교육공동체에서 매년 벌어지는 최고 지성들의 게임인 유리알 유희는 ‘이성과 감성, 과학과 예술, 동양과 서양, 현실과 이상’이라는 이분법을 초월하고자 하는 인간 정신의 궁극적 시도였다. 헤세는 유리알 유희에 대하여, ‘수 세기 동안 인간 정신의 모든 창조물들을 기호와 상징으로 추상화하고, 이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하고 조율하는 예술이다’라고 묘사했다.
헤세는 작품에서 유희의 구체적 방법을 의도적으로 불분명하게 묘사한다. 유리알 유희의 실질적인 게임의 규칙이나 실제 진행 방식은 자세히 서술하지는 않는다. 유희가 상징하고자 하는 것은 ‘형식’이 아니라, 그 ‘정신’이기 때문이다. 헤세의 유리알 유희는 ‘지(知)적 유희’다. 지적 유희는 수학, 철학, 음악, 문학, 과학 등 모든 학문의 영역을 연결하고 상징하는 ‘놀이’다. 헤세는 ‘놀이야말로 인간 정신의 가장 숭고한 표현이다’라고 책에서 묘사한다. 카스틸리안의 유희는 놀이 치고는 너무 진지하다. ‘삶 전체를 건’ 놀이 임과 동시에 ‘유희자 자신의 존재를 묻는’ 놀이다. 헤세가 ‘유희’라고 이름을 붙인 이유가 무엇일까.
공자는 학이편 첫 구절에서, ‘학이시습지불역열호아(學而時習之 不亦悅乎)'라 하였다. 간단히 풀이 하자면, ‘공부는 즐겁다’이다. 여기서, 즐거움의 진정한 의미를 알아야 한다. 공부의 목적이, ‘무언가 얻음’이 아니라, ‘즐거움’이라 선언한 대목이다. 무언가 얻으려는 사람에게는 노동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즐거움이다. 그런 연유로, 공부가 즐거움인 사람에게 학이편의 ‘열’은 ‘습(習)’과 함께하는 것이다. 공자는, ‘자신과 비슷한 사람은 많아도, 자신처럼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은 없다’ 고 말했다. 공부가 즐거움이 되는 도리가 있다. 공자에겐 공부가 최고의 취미 활동인 셈이었다. 헤세의 유희와 공자의 공부가 다를 리 없다. 그런데 어찌하여 두 거성은 공부가 즐거움이라 하였을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너무나 재밌기 때문이다.
한때 우리에겐 공부가 밥 벌이었다. 의무적으로 해야 했기에, 공부는 힘든 것이자 언젠가 마쳐야 하는 것이었다. 수 백년 동안 공자왈, 맹자왈 했어도 학이편 한 구절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한 것이 우리 사회의 모습이다. 지난 세월 동안 우리의 사회는 공부가 즐겁다는 걸 가르쳐 주지 않았다. 늦었지만 공부를 다시 시작하자. 뭐든 읽고 깨우치자. 공부하자. 최고의 취미 활동을 하자.
이 취미는 우주와 세계와 삶의 본질을 다루는 최고의 놀이다.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오기 어려울 만큼 재미가 있다. 헤세의 유희란, 얽메이지 않음이며, 진리에 도달하는 길이다. 자유, 진리라는 거창한 말에 기죽을 필요는 없다. 지적 유희라는 취미 활동이 별거 있으랴. 끊임없이 질문하고, 의심하고 자신의 생각을 깨뜨려 가면 되는 것이다. 재미에 덤으로, 당신의 의식을 저 높은 곳까지 인도하여 쓸데없는 일에 마음을 걸어두는 일도 없을 것이다.
/공봉학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