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뒤끝

등록일 2025-08-27 18:20 게재일 2025-08-28 17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윤명희 수필가

오랜만에 보는 친구의 얼굴이 핼쑥하다. 한 달 전, 시골에 혼자 지내던 시어머니가 일사병으로 쓰러지셨다는 소식을 전한 뒤였다. 그녀는 불볕더위 속에서 상을 치르는 것도 힘들었지만, 그보다 더한 숙제가 남았다고 했다.

“사람이 살다 간 자리에 이렇게 많은 게 남을 줄 몰랐어.”

그 말 속에는 지친 한숨이 섞여 있었다. 시어머니가 시집와서 평생 살아온 집은 자식들을 키우고, 조상 제사를 모시던 살림살이로 가득 했다. 벽장에는 자식들이 집을 떠나면서 나중에 가져가겠다며 놔둔 물건들이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었다. 딸들은 엄마가 서랍 밑바닥에 넣어둔 금반지와 통장에나 관심을 가질 뿐, 자기 물건은 고사하고 손때 묻은 살림에는 손을 대려 하지 않았다.

창고는 더 심각했다. 몇 년 동안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녹 쓴 고추 건조기와 나무 자루가 갈라진 곡괭이, 속이 반쯤 남은 비료 포대들이 거미줄로 포장되어 있었다. 언젠가 필요한 날이 있을 거라며 쟁여두던 시어머니였다. 친구는 녹이 쓴 연장들을 발로 모았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막막한 심정에 찬물을 두 컵이나 연거푸 마셔댔다.

하루에도 몇 번이나 올려다보시던 자식들과 손자 사진부터 벽에서 거두고, 개인정보가 담긴 종이들을 모아 불태웠다. 끄집어내면 낼수록 물건은 더 불어났다. 뒷방 한쪽, 이불덮개로 싸 놓은 솜이불을 보는 순간 마음이 무너졌다. 눅눅해진 이불에서 곰팡이 냄새가 올라와 목구멍을 막았다. 순간, 체한 듯 가슴이 답답했다. 정리 전문 업체를 불렀지만, 처리 비용이 만만치 않았다. 시어머니의 손 때 묻은 것들이 한순간에 쓰레기가 되는 모습을 차마 볼 수 없었다.

그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오래전 아버지의 방을 정리하던 날을 떠올렸다. 엄마가 돌아가시자, 나는 아버지의 뜻대로 꼭 필요한 것들만 남겼다. 시간이 갈수록 아버지는 더 작은 집으로 이사하기를 원했고, 집의 크기만큼 살림은 줄어들었다. 서너 번의 이사로 아버지의 물건들은 한눈에 다 보일만큼 남았다.

혼자 지내기 힘들어지자, 아버지는 요양원을 택했다. 자식들에게 기대지 않겠다는 고집을 끝내 꺾지 못한 나는 필요한 것들로 가방을 챙겼다. 정장을 한 아버지를 한 번이라도 볼 수 있을까 하는 마음에, 깨끗한 양복 한 벌과 구두를 함께 넣었다. 그리고 가족사진 액자도 잊지 않았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내게 남은 것은 그 가방 하나뿐이었다. 닳아진 지갑 속에는 자식들의 전화번호와 사진이 들어 있었다. ‘내 뒤끝도 이렇게 깨끗할 수 있을까.’ 혼잣말처럼 내 뱉은 말에 친구는 고개를 저었다. 살다 보면 추억으로 남은 물건들을 정리하는 게 결코 쉽지 않다고 했다.

지난 번 이사 때를 떠올렸다. 이삿날을 앞두고 나는 옷장 문부터 열었다. 자주 입는 옷은 몇 벌 뿐이고, 나머지는 몇 년째 그대로 걸려있었다. 버려야지 하는 건 마음뿐, 손이 가지 않았다. 책을 정리하는 일은 더 어려웠다. 그 책을 살 때의 기억들이 손목을 잡았다. 책마다 버리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있었다. 다시 원래 자리에 꽂았다. 대신 굽 높은 구두와 발이 불편하던 운동화를 과감히 쓰레기봉투에 넣었다.

싱크대 구석에서 오래 묵은 냉면 그릇이 나왔다. 몇 년 전에 이사 올 때 넣어둔 그대로다. 지난 이사 때도 버릴까 말까 망설였던 기억이 났다. 연꽃 모양의 그릇은 본래의 색을 잃어갔다. 행주로 닦자, 하얀빛이 살아나 한 번은 사용하지 않을까 고민이 되었다. 다시 집어넣었다가, 결국은 쓰레기장으로 갔다.

냉장고를 열자, 빈틈없이 채워진 뭉치들 속에 아이스 팩까지 들어 있었다. 국이라도 끓여서 소비하자는 생각에 데쳐서 넣어둔 얼갈이배추를 꺼내 녹였다. 국이 한 솥이다. 두 식구가 먹기에는 많다. 결국 통마다 담아 냉동실에 넣었다. 몸에 밴 채우는 습관이 또 속을 꽉 채웠다.

체증(遞增)처럼 불어나는 물건 앞에서 체증(滯症)이 올라오는 날이다. 소유보다 비움에 무게를 두어야 할 나이임을 입으로만 말하고 있다. 욕심으로 채워진 것들이 결국은 짐이 되는 순간, 가방 하나만 남기고 떠난 아버지가 떠오른다. 내게 소중했던 것들이 자식들에게 쓰레기가 되게는 하지 말라는 말씀이 들리는 듯하다. 나는 쓰레기봉투를 옆에 두고, 책상 서랍부터 정리하기 시작한다.

/윤명희 수필가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