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논란 재점화

이곤영기자
등록일 2011-07-27 21:46 게재일 2011-07-27 1면
스크랩버튼
대구취수원 구미이전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비용편익분석(B/C) 결과 `경제성 없음`으로 결론나자 대구지역민들이 강력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같은 용역결과는 취수원이전사업의 중단으로까지 내몰리게 되자 정치권은 물론 대구시와 시의회 등이 강력반발하고나서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조원진 의원은 26일 오후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비용편익분석(B/C) 결과는 납득하기 어렵다. 한강에 먹는 물 오염사고가 낙동강처럼 매년 발생했더라도 똑같은 결과를 내놓았겠는가”라면서 “먹는 물 문제는 경제성의 잣대로 판단할 사안은 아니다. 먹는 물은 국민의 생존권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260만 대구시민이 1천300여종의 화학물질이 섞인 물을 마시며 건강에 위협을 느끼는 현실에서는 헌법에 보장된 행복추구권은 먼 이야기다”면서 “먹는 물 문제만큼은 교량, 도로와 같은 기준을 적용해서는 안 된다. 정부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구미취수원 이전이든 뭐든 먹는 물길을 찾아주어야 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김연수 대구시 행정부시장도 “대구시민의 근본적인 삶의 문제를 도외시한 정부의 일관성 없는 졸속한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를 결코 인정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하고 “예비타당성조사는 입지선정 등 처음부터 정부가 추진한 사안으로써 이번 타당성조사 결과에 관계없이 구미공단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대책을 정부가 조속히 수립해 주어야 한다”고 강력하게 촉구했다.

이어 그는 “지난 1991년 페놀오염사고 이후 20여년간 끊임없는 수질오염사고의 고통을 참고 살아온 260만 대구시민은 오랜 숙원인 맑은 물 문제 해결에 대구시는 중앙정부 및 정치권 등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구시의회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취수원 이전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와 관련해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업추진이 불가능하다고 밝힌 것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히고 “중앙정부는 수질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상수원수를 확보하기 위한 취수원 이전사업을 당초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촉구했다.

이에 반해 이날 한나라당 김성조(구미갑) 의원은 “한국개발연구원이 최근 대구취수원의 구미이전 사업에 대해 비용과 편익을 분석한 결과 0.86이 나온 사실을 확인했다”며 “대구취수원의 구미이전 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에 훨씬 못 미치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사업 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